MOMENT

The chronicles of Buddhism

  • B=birth (출생)
  • D=died (사망)
  • E=established (설립)
  • 🅅=video clip (동영상 링크)
  • yellow=해인사 연대
  • brown=한국매체의 불교기사
  • purple=해외매체의 한국불교기사 Article of Korean Buddhism
  • (16)= 나이

*뉴스항목으로 따로 분류되던 신문/방송기사들은 2022.1.18일 이후로 moment에 통합되었습니다.

2024

  • 1108 대궁종상(大弓宗常, 1948-2024) D. 불국사 정혜료
  • 1106 ⟪월간불광⟫ 창간 50주년 기념식, 서울 프레스센터  
  • 1104 여산혜거(與山慧炬, 1944-2024) D.
  • 1010 대한민국의 작가, 소설가 한강(1970), 노벨문학상 수상선정, Svenska Akademien(스웨덴 한림원) 
  • 0816 해인사 안정과 총림수호를 위한 원료중진 특별대책위원회 결의 발표
  • 0625 불교사전, 가산불교대사림 완간
  • 0501 남은현봉(南隱玄峰, 1949-2024) D. 송광사 삼일암
  • 0428 원성지명(圓成志明, 1933-2024) D. 경주
  • 0424 보리 김선근(金善根 -2024) D.
  • CBETA, Chat Gpt로 구축한 대장경 AI 번역 툴 서비스 시작

2023

2022

불기 2566 (+/-544)북방불기 3049 (+1027)단기 4355 (+2333)
  • 0323 Thích Nhất Hạnh(釋一行, 틱낫한, 1926-2022) D. 후에, Viet Nam

2018

*2018 통계자료
  • 세계유산 관람객 현황

해인사장경판전 관람객 453,671석굴암, 불국사 관람객 1,924,207
문화재청, 통계로 보는 문화유산 2020
*2017 통계자료
  • 세계유산 관람객 현황

해인사장경판전 관람객 728,659석굴암, 불국사 관람객 2,060,288
문화재청, 통계로 보는 문화유산 2020

2016

*2016 통계자료
  • 세계유산 관람객 현황

해인사장경판전 관람객 597,350석굴암, 불국사 관람객 1,938,590
문화재청, 통계로 보는 문화유산 2020
*2015 통계자료
조계종 사미사미니수계현황 204명
조계종30년출가자 현황 ⟪법보신문⟫ 2021.05.10 

2014

2013

Boys get a head start in being a Buddhist
  • 0925 중국찰합이학회(中国察哈尔学会, The Chahar Institute), 동국대에 중화대장경 기증

2010

불기 2554
Seokguram Grotto and Bulguksa Temple
  • 김영환(金英煥 Kim Young-hwan, 1921-1945) 대령, 해인사 대장경, 판전을 지킨 공로로 금관문화훈장 수여
  • 0311 법정(1932-2010) D. 서울 성북동 길상사
*2010 통계자료
조계종 사미사미니수계현황 287명
조계종30년출가자 현황 ⟪법보신문⟫ 2021.05.10 

2009

2008

In pictures: Monks protestYeongsanjae
  • 중국티베트학연구센터(中國藏學硏究中心大藏經對勘局) 중화대장경 티벳판 완성.
  • Erik Zürcher(에릭 쥐르허, 1928-2008) D.
*2008 통계자료
해외 불교주제 박사학위 취득자 187명 (1925년 이후)
  • 국가별
일본 33.2%미국 19.9%중국 12.8%인도 11.2%독일 5.3%프랑스 3.7%대만 3.7%기타 10.2%
  • 구분야
교리 66편(36.3%)문화 54편(28.9%)인물 44편(23.5%)역사 14(7.5%)응용9편(4.8%)


역대불교 박사학위 논문분석법보신문⟫ 2008.01.22 

2006

  • 水野弘元 (미즈노고겐, Mizuno Kogen, 1901-2006) D.
  • 불교자료링크사이트 www.soo-soo.net E.
*2006 통계자료
  • 종교인구
한국 불교신도 수 10,726,000한국의 종교인구 중 22.8%종교인구 중 불교비율 42.9%
  • 불교문화재 현황
한국의 국보 307점 중 173점(56.4%)한국의 보물 1431점 중 935점(65.3%)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결과BTN 뉴스 2008.03.21국보 56.4%-보물 65.3%가 불교문화재 ⟪법보신문⟫ 2006.04.26

2005

Puppy joins prayers
  • 중국티베트학연구센터(中國藏學硏究中心大藏經對勘局) E. 중화대장경 한문판 완성
  • Thailand, World Tipiṭaka 40권, 로마자로 출판 Mahāsaṅgīti Tipiṭaka

1999

일타스님 입적前 大苑閣주인 金英韓씨 별세 조선일보Rival Buddhist monks clash in Seoul법원, 총무원장직무대행 도견스님 선임
  • 조오현(1932-2018), 불교평론 창간
  • 동곡일타(東谷日陀, 1928-1999) D
  • 0909 방산석경 폐쇄
  • 전자불전연구소, 학술지 전자불전 창간
  • 0826 제월통광, 쌍계사 주지
  • 中村元(나카무라 하지메, 1912-1999) D.
  • 0630 중앙승가대학교, 김포학사 완공

1997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연구소 E.
  • 0509 Walpola Rāhula(월폴라 라훌라, 1907-1997) D.

1996

  • 1130 덕숭총림 수덕사 승가대학 개원
  • 11.22 KBS
훼손되는 불교사찰 개발 백지화하라해인사사태, 주지스님 사퇴로 수습국면

1995


통계자료
조계종 사미사미니수계현황 448
조계종30년출가자 현황 ⟪법보신문⟫ 2021.05.10 
세계문화유산 등록 경축법회에 축전세계문화유산 지정세계문화유산 지정 석굴암-불국사 
  • 03.01 BTN 불교방송 개국
* 1995 통계자료
  • 조계종 사미사미니수계현황 448명
  • 선학원 소속사암 525개, (분원 277개, 포교원 248개)

조계종30년출가자 현황 ⟪법보신문⟫ 2021.05.10선학원 왜 종단귀속 거부하나 불교신문 1995.12.12

1994

1993

송서암 스님 조계종 종정으로 추대성철스님, 다비식 엄수뉴스초점-큰스님 열반
  • 고려대장경연구소 E.
  • 가산불교문화연구원 E.
  • 1010 프랑스, 한국 사찰 길상사 E. Paris.
  • 0525 พุทธทาส (Buddhadāsa, 1906-1993) D
  • 취운향당 E.

1992

  • 자운성우(慈雲盛祐, 1911-1992) D.
  • 불교인권위원회(위원장 송월주), 나눔의 집 개원, 마포구 서교동
  • 05.10 MBC
부처님오신날 주요사찰의 표정과 봉축행사도난 문화재 되돌아 온다
  • 0420 직지 Jikji 목판본, 보물1132호로 지정
  • 03.14 KBS
고려시대 불교그림 뉴욕 소더비사에서 경매

1991 

  • 이종익(李鍾益, 1912-1991) D.
  • 0826 대한불교조계종 행자교육원 출범
  • 0616 가산불교문화연구원 개원
*1991 통계자료
조계종 사미사미니수계현황 517명
조계종30년출가자 현황 ⟪법보신문⟫ 2021.05.10 

1990

불기 2543
세계불교도 서울대회
  • 0501 BBS 불교방송국 개국
  • 중앙승가대학교, 4년제 대학 각종학교 인가, 문교부

1986

  • 0907 해인사 승려대회, 2천명 운집
  • 텍사스 휴스턴, 한국사찰 남선사(The West Houston Zen Center) E.
  • 서경수(1925~1986) D.

1985

  • 혜암성관(慧菴性觀, 1920-2001) 해인총림 부방장
  • 해인사 희랑대, 보광성주 普光性住, 요사 3칸 1동 신축
  • 0815 학술지 불교연구 창간
  • 1027 동화사 내원암에서 비구니 청해문도회 결성(혜춘 慧春, 장일 張一, 상덕 想德, 묘관 妙觀, 보각 寶覺, 성원 性元, 용운 龍雲)

1984

  • 도림(道林堂) 법전(法傳) 김향봉(金香奉, 1925-2014), 해인사 주지
  • 선열당/사운당 중수
  • 1103 중앙승가대학, 개운학사 준공
  • 0326 New York Times
South Korea Christianity creeps up on Buddhism
  • 통도사, 영축총림 개설
  • 수덕사, 덕숭총림 개설

1983

  • 탄허 택성(呑虛 宅成, 1913-1983) D.
  • 0505 에띠엔느 라모뜨(Étienne Paul Marie Lamotte, 1903-1983) D.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불교문화연구원으로 승격

1982

  • 동광명진(東光明振, 1939-1998), 해인사 주지
  • 해인사 율주 동곡일타
  • 0825 숭산행원, 대통령에게 비판서한 발송 (조선일보 2009.02.25)
  • 0814 Mahāsī Sayādaw U Sobhana (1904-1982) B
  • 0410 불교회보(현 주간불교) 창간
  • 0301 경남학원 경남대학교, 종합대학 승격
  • 03 해인사 잡지 ⟪월간해인⟫ 창간
  • 강남포교원 개원, 서울교대 근처 상가, 역삼동
  • 0220 중앙승가대학교, 한국비구니대학 흡수합병

1981

  • 혜암성관 (慧菴性觀, 1920-2001) 해인총림 유나
  • 묵담성우(1896~1981) D.

1980

  • 금성당(錦城) 도견(道堅, 황우덕黃祐德, 1925-2013 ) 해인사 주지
  • 慧菴性觀(1920-2001) 해인총림 유나
  • 제17대 조계종 총무원장 태공월주(宋月珠, 1935-2021)
  • 1206 중앙승가대학교, 보현사에서 영화사로 이전
  • 1118 운허용하(耘虛龍夏, 이학수, 1892-1980) D. 남양주, 봉선사
  • 1027 10.27 법난,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 대한불교조계종 승려 및 관련자 강제연행 및 수사, 전국 사찰 수색, 법난
  • 0115 강석주, 중앙승가대학교 초대학장
  • 0110 중앙승가학원, 중앙승가대학으로 개칭
  • 0109 대한뉴스 손경산스님 장례식 영상제작

1979

기미 己未불기 2523북방불기 3006
Buddhism in America
  • 0323 Paul Demiéville (1894-1979) D.
  • 박병선 박사, 외규장각도서 존재 확인, 프랑스 베르사유 궁.
  • 영암임성 (暎巖任性), 박기종(朴淇宗, 1907-1987), 제2대 동국역경원장
  • 0318앙승가학원 개강, 서울 돈암동 보현사 학사
  • 0224 쌍룡사, 중앙승가학원설립 발기
  • 0110 신라 진흥왕대 석비와 480cm 입석불상 발견, 충북 단양
  • 중앙불교승가학원 개설, 서울 보현사

1978

  • 1215 향곡혜림 (香谷蕙林, 1912-1978) D. 해운정사
  • 탄허 택성(呑 宅成, 1913-1983),  오대산 월정사에서 열린 ‘儒⋅佛⋅仙⋅華嚴 東洋思想 特講’
  • 05.07 조선일보
조계종(曹溪宗) 새종정(宗正)에 윤고암(尹古岩)스님
  • 0225 P.L Vaidya (1891-1978) D. *Sanskrit editor

1977

  • 자운성우, 대각회 이사장
  • 영공도성(1919-), 해인사 주지
  • 혜암성관 (慧菴性觀, 1920-2001) 해인총림 유나
  • 양주동(梁柱東, 1903-1977) D.

1976

북방불기 3003
조계종(曹溪宗)총무원장 김자운(金慈雲)스님임명(任命)

1975

북방불기 3002

1974

불기 2518북방불기 3001

1973

불기 2517북방불기 3000
  • 망우당 봉주(忘牛堂 奉珠, 1936-2020), 해인사 주지
  • 혜춘, 보현암 E.
  • 0406 [조선일보] 석탄일(釋誕日)을 공휴일(公休日)로 불교조계종(佛敎曹溪宗)서 건의

1972

  • 해인사 현대식 목욕탕 설치
  • 0215 '해인강원'에서 '해인사 승가학원'으로 명칭변경
  • 염암, 길상암 E.
  • 강남 봉은사, 역장을 설치하고 역경사 양성
  • 박병선 박사, 프랑스국립도서관(BNF), 직지 하권 소장 및 금속활자본 밝혀냄.

1971

신해 辛亥
  • 1231 해인사 대학, 경남대학으로 교명 변경
  • 해인사 대적광전 중수공사
  • 0407 통광(通光. 우춘성 禹春成) 칠불사 주지 

1970

  • Greco-Buddhism 부조들, Hadda에서 발굴
  • 자운성우, 해인사 주지 (3임)
  • 가산지관 이해붕(李海鵬/鍾鵬), 1932-2012),  해인사 강원 강주
  • 혜암성관 慧菴性觀(1920-2001) 해인사 주지
  • 고암, 해인사 2대 방장으로 추대
  • 0520 삼양학원, 학교법인 경남학원으로 정관변경
  • 10.13 New York Times
Buddhists From 13 Nations Form World Group in Seoul한국사찰 삼보사(三寶寺) 건립발원, 덕산 이한상 거사, 미국인 변호사 굿윈 부부, Carmel by the Sea, California, USA.
  • 해인사 희랑대 주지, 김성허(金性虛), 큰방 기와불사
  • Bertrand Arthur William Russell(러셀, 1872-1970) D.
  • 0725 대한불교법조인회 창립
  • 0115 한국불교태고종 출범, 종정 박대륜(朴大輪), 불이성 법륜사

1969

1968

  • 마산대학, 학교법인 삼양학원이 운영을 맡게 됨
  • 해인사 경학원, 지월화상에 의해 중수.
  • 지암종욱(智庵鍾郁, 이종욱 1884~1968) D.
  • 군승장교 첫 배출

1967

  • 자운성우, 동래 범어사 주지
  • 0727 해인사 비상종회, 고암을 대한불교조계종 제3대종정으로 추대
  • 7월, 조사전에 있던 희랑조사상을 보장전으로 사용하던 구광루로 이전
  • 혜암성관 (慧菴性觀, 1920-2001) 해인총림 유나
  • 해인총림 설립
  • 02.15 New York Times
Korea Finds 'Oldest' Printed Text; A Buddhist Scroll, It Is Said to Date to the 8th Century Document, 20 Feet Long, Discovered in Pagoda Stone
  • 청하(靑霞, 1927-2004), 통도사 주지
  • 프라단, 구사론 교정출판
  • 영암임성 (暎巖任性), 박기종(朴淇宗, 1907-1987) 조계종 총무원장, 동국학원 이사장
  • 0612 대한불교신문사, 지령 200호 기념 자축회, 신문회관

1966

해인사지구海印寺地區 개발開發
  • 불국사 석가탑 내부에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사리감 발견
  • 스즈키 다이세츠(鈴木大拙, 1870-1966) D.
  • 동국역경원 역장 개원식, 화성 용주사

1965

을사 乙巳
  • 영암임성(暎巖任性), 박기종(朴淇宗, 1907-1987) 해인사 주지, 퇴설당 수리, 해행당(수선사) 중수, 창건주와 중창주 영정봉안
  • 퇴경 권상로(1879-1965) D.
  • 1027  [The Media / 마산일보] 日曜日의 海印寺 10餘萬名이 붐벼 旅舘과 庵子까지 超滿員
  • 0723 혜광(慧光) 최정석(崔正石) 쌍계사 칠불암 주지
  • 0630 첫번째 한글대장경, 제1집 장아함경 2천부 출간, 초기 역경위원회 구성 (운허, 탄허, 법정, 김달진, 조지훈, 서정주, 우정상, 홍정식, 이종익 등)
  • 진호석연(震湖錫淵, 안진호, 1880-1965) D.
  • 1016 동국대학교 석림회 창립, 초대회장 김공철 스님

1964

  • 0321 중국계 말레이시아 불자가수 Imee Ooi, B.
  • 0301 운허용하, 역경원 설립. 한글대장경(1964-2001) 조성, 동국역경원 초대원장
  • 탄허 택성, 월정사 적광전 중건
  • 해인사, 법보전문강원에서 해인강원으로 명칭 변경
  •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개설

1963

1962

임인 壬寅
  • 고암, 직지사 주지 사임 후, 해인사 용탑선원 조실, 용탑 불사리탑 조성, 석굴법당, 아미타 삼존불 봉안
  • 04.22 New York Times
Married and Celibate Buddhists In South Korea Settle Dispute; Celibates Opened Drive Celibates Appeal to Code 비구-대처 양측 불교재건위원회 합의, 재건비상위원회 구성, 종헌 제정공포, 통합종단 성립
  • 대한불교 조계종, 종단3대 사업(포교, 도제양성, 역경) 중 역경사업 추진, '역경위원회법' 제정
  • 청하(靑霞, 1927-2004), 마산포교당 주지
  • 0322 조계종,  ⟪종헌⟫ 제정
  • 03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불교문화연구원) E.
  • 1019 향산香山 강성래姜聲來 스님, 칠불사 주지
  • 1217 胡適, Hú Shì, 호적, 1891-1962) D.
  • 조계종 통합종단 출범.

1961

  • 2.22. 해인대학, 마산대학으로 교명교체
  • 영암임성, 해인사 정대불사 시작
  • 05 법보원 설립
  • 운허용하, 국내 최초 ⟪불교사전⟫ 편찬
  • 0419 4.19혁명 이승만 하야

1960

단기 4293

1959

  • 자운성우, 밀양 표충사 주지

1958

  • 자운성우, 조계종 중앙감찰원장
  • 사명대사 석장비 복원
  • 이청담, 해인사 주지
  • 진제도원, 해인사 총무
  • 문정영, 해인사 재무

1957

불기 2500북방불기 2984 (+1027)
  • 영암임성 (暎巖任性), 박기종(朴淇宗, 1907-1987) 해인학원 이사
  • 북경대학 고고학팀, 석경산 석굴조사, 운거사 석경 발견
  • WFB결의, 세계 공통불기 제정, 1957년을 불기 2500년으로 계산

1956

  • 4. 해인대학,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완월동 새건물로 이전
  • 자은성우, 해인학원 이사장, 해인사 금강계단 전계대화상
  • 암베드까르, 인도 초대 법무부장관
  • 암베드까르, Maharashtra주 Nagpur시, 불가촉천민60만명 집단 불교개종의식
  • 자운성우, 대한불교조계종 경남종무원장
  • Bhimrao Ramji Ambedkar (암베드까르, 1891-1956) D.

1955

  • 송광사, 주지 금당(錦堂)스님과 화주 취봉(翠峰), 대웅전을 비롯한 건물들 복구시작
  • 10월 자운(慈雲) 성우(盛祐, 1911-1992), 정화 후 해인사 초대 주지
  • 영암(暎巖/任性), 박기종(朴淇宗, 1907-1987) 해인사 총무
  • 해인사, 강원 부활, 법보전문강원法寶專門講院 명명, 이운허李雲虛 강백 부임
  • 탄허, 조계종 강원도 종무원장, 오대산 월정사 조실 추대
  • 김남곡(1913-1983), 군산 금강사를 동국사로 개칭
  • 0812 조계사 전국승려대회
  • 0713 문교부 주도 제1차 사찰정화대책위원회 개최

1954

  • 미얀마 6차 결집 (The Sixth Great Council, (1954-1956) 시작
  • 이청담,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 0520 이승만, 대처승 배척, 제1차 정화유시
  • 불교정화운동(1954-1962)
  • 김영환(金英煥 Kim Young-hwan, 1921-1954) 대령, D

1953

  • 암베드까르, 인도불교협회 창립

1952

  • 0323. 마포 국민대학관, 해인사 경내로 이전, 해인대학으로 교명 바꿈, 8월, 경남 진주시 강남동으로 이전
  • Alfred Charles Auguste Foucher (1865–1952) D.
  •  0617 (Ian Charles Harris, 1952-2014) B.

1951

  • 0916 Steven Collins (1951-2018) B. British.
  • 08 김영환(金英煥 Kim Young-hwan, 1921-1945) 대령, 해인사 폭격명령 명령 불북종
  • 효당범술, 해인사 부동산을 담보로 해인대학 설립
  • 불교종군포교사회 창립, 군승제도 시작

1950

  • 0625 담설행자 擔雪行者 김구경(金九經, 1899-1950) 행불.
  • 0415 동국대학교 동대신문 창간호 발간

1949

  • 임환경, 주지직 사임, 효당 최범술 해인사 주지
  • 변설호 반민특위에 기소 되었으나 반민특위 해체로 다시 해인사에 주석
  • 10 반민특위 해체
  • Peter Skilling (1949-present) B
  • 이지수(李芝洙, 1949-2018) B
  • 나인창(羅仁昌) 논산 관촉사 주지

1948

  • 박한영(1870-1948) B. 내장사
  • 자은성우, 문경봉암사에서 보살계 수계법회
  • 1225 장봉해, 최범술 주지선거 동점, 장봉해가 연상으로 당선, 곧 부정투표권으로 장봉해 주지 사표.
  • 10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결성
  • 12.03 조선일보
동국대학교수단퇴진(東國大學敎授團退陣)세존강탄경축(世尊降誕慶祝)
  • 0815 대한민국 정부수립
  • 운허용하, 조선혁명당 해체식
  • 0403 제주 4.3사건

1947

  • 범술(凡述) 효당 최영환(崔英煥, 1904-1979), 해인사 주지
  • 자은성우, 퇴옹성철, 봉암사결사

1946

북방불기 2973
  • 변설호, 사명대사 석장비 사건으로 변설호 멸빈, 산문출송
  • 임환경, 해인사 초대주지
  • 임환경, 삼전위촉소를 '경학원' 편액을  직접 써서 명명
  • 10 가야총림 설립, 심검당이 하선원(下禪院)으로 지정, 염불당 폐지
  • 1021(음) 만공월면 (1871-1946) D
  • 0408 운허용하, 광동학교 설립
  • 0510 대한불교법화종 설립, 혜일정각(正覺), 서울 성북동 삼각산 무량사(無量寺)
  • 여병조(呂秉祚) 논산관촉사 주지 (1946-1948 재임)

1945

  • 0815 광복
  • 조선불교 중앙총무원 박한영 1대 교정
  • 이고경 제자 민동선, 변설호를 칼로 찌름, 변설호 죽지 않음
  • 심검당, 관음전으로 다시 개칭
  • 하담, 비구니 암자, 금선암 E.
  • 폴 펠리오(Paul Eugène Pelliot, 1878-1945) D.
  • Takakusu Junjirō (高楠順次郎 1866-1945) D.
  • 김구경, 서울대학교 중문과 초대교수

1944

  • 변설호(1888-1976), 주지선거 출마, 낙선
  • 백경하(재영, 1869-1957) 해인사 주지
  • 0629 만해 한용운(1879-1944) 순국
  • 0629 백초월(1878-1944) 순국
  • 0604 변설호 해인사 주지사임
  • 우현(又玄) 고유섭(高裕燮, 1905-1944) D.

1943

  • 0121 이고경(1882-1943) D. 합천경찰서에서 고문 받고 순국, 창성여관
  • 합천경찰서장 다케우라, 사명대사 석장비 정으로 4등분하여 주재소 댓돌로 사용, 변설호 가담.
  • 무능거사 간정 (侃亭) 이능화(李能和, 1869-1943) D.
  • 황태호(黃泰鎬) 논산관촉사 주지(1943-1946 재임)

1942

  • 이고경, 임환경 해인사 강원에서 승려들에게 조선역사를 강의했다는 이유로 변설호에게 밀고 당하여 체포, 민동선 閔東宣스님과께 체포
  • 1011 해인사 대구 포교당, 峨嵋山布敎堂이 (慶尙北道 大邱府 南山町)에 설치되었다(朝鮮總督府官報 1942.5.6)
  • 0131 진진응(1873-1942) D.
  • 강대련(1875-1942) D.
  • 체르바츠키(Fyodor Ippolitovich Stchbatsky, 1866~1942) D.
  • 조선총독부 조사, 승려수 6,825
  • 경하재영, 해인사 국일암 중수
  • 북경 운거사 석가불사리탑(남탑), 일본군의 침입으로 파괴
  • Lance Selwyn Cousins(랑스 카진, 1942-2015) B.
  • 경허집 발간
  • 인도, 뱅갈 대기근 (1942-1944)

1941

  • 조선불교 선교양종에서 조계종으로 명칭변경
  • 변설호 해인사 주지 재출마 재선

1940

불기 2484불방불기 2967단기 4273경진

1939

불기 2483불방불기 2966기묘

1938

무인
  • 임시주지 강제월姜齊月
  • 0424 이고경, 해인사 주지사임
  • 0425 변설호, 해인사 주지
  • 총독부 경찰들을 데리고 해인사 주지선거를 실시, 제9대 변설호 당선 (洪錫謨卞雪醐白景霞九世住持選擧 (海印寺住持로 卞雪醐氏當選) 백경하(재영, 1869-1957) 24표, 변설호 54표 (총독부학무국촉탁 홍석모 배석,)
  • 03.08 조선일보
해인사신주지(海印寺新住持)에 변설호화상피임(卞雪湖和尙被任)

1936

해인사 주지 海印寺住持를 개선 改選
  • 대각사, 海印寺 京城 布敎所로 명칭 개칭, 다시 범어사 경성포교당으로 개칭
  • 荻原雲來(오규와라운라이), Sphutartha(칭우) 교정출간
  • 0221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1880-1936) B.
  • 운허용하(耘虛龍夏, 1892-1980) 홍법강원(弘法講院) 설립, 남양주, 봉선사

1935

경남삼대본산연합(慶南三大本山聯合) 해동역경원창립(海東譯經院創立)
  • 포산혜천(飽山慧天 윤달선 尹達善, 1912-1971) 해인사 조실추대 
  • 실뱅 레비(Sylvain Lévi, 1863-1935) D.
  • Tenzin Gyatso 텐진가쵸 (1935-) B.
  • 만상회 卍商會 E. 안진호.
  • 석문의범 釋門儀範 출판, 만상회
  • 불교시보사 E. 김태흡
  • 유인명 (兪寅明),논산 관촉사 주지(1935-1938 재임)

1934

  • 大正一切経刊行会 대정일체경간행회, 대정신수대장경 완성
  • 심검당에서 염불회 결성
  • 고익진(高翊晉, 1934-1988) B.
  • 경성제대, 불조직지심체요절 영인
  • 월초(홍거연巨淵, 1858-1934) D.
  • 07 김구경(金九經) 교간유씨언문지(校刊柳氏諺文志) 발행, 강원총서(薑園叢書) 전집 출간
  • 김구경(金九經) 교간안심사본달마대사관심론(校刊安心寺本達磨大師觀心論), 교간대승개심현성돈오진종론(校刊大乘開心顯性頓悟眞宗論) 출간, 심양

1933

  • 해인사 주지 후보. 許尙玄, 李古鏡 중 0908 이고경, 해인사 주지. 10 ⟪해인사약지海印寺略誌⟫를 제작
  • 마하보디협회 다르마빨라, D.
  • 오고산(1933-2021) B.
  • 해강 김규진(金圭鎭, 1868~1933) D
  • 03 담설행자 擔雪行者 김구경(金九經, 1899-?) 둔황본 능가사자기(楞伽師資記), 재교본, 교간당사본능가사자기(校刊唐寫本楞伽師資記) 발간
  • 만공월면, 금강산 마하연 주지
  • 화사(畵師) 송파정순(松城淨直), 퇴경일섭(退耕日燮), 사천왕도 봉안, 화주, 고경(古鏡)

1931

  • 박한영, 불교전문학교 교장
  • 09 담설행자 擔雪行者 김구경(金九經, 1899-?) 둔황본 능가사자기(楞伽師資記), 태허, 호적의 서문을 붙여 발간

1930s

  • Greco-Buddhism 부조들, Hadda에서 발굴

1930

  • 허상현 許尙玄(菱山?), 해인사 주지선거에서 당선.(中外日報1930.09.07.]) 白景霞, 許尙玄, 林在修, 李古竸, 金南泉, 金萬應, 金暎海, 金瑛遂 중 허상현이 71표를 받아 당선되었다.(中外日報1930/08/09)
  • 02.15 조선일보
해인사입구(海印寺入口)에 우편소(郵便所)를신설(新設)
  • 요나라, 경주백탑 수리
  • 0721 제1회 범태평양불교청년대회 개최, 미국 하와이 (조선대표 도진호)

1929

  • 김만응 주지가  궁현당窮玄堂에 강당을 설치
  • 심검당에서 염불회 결성
  • 임환경, 독립운동 혐의로 연행, 4. 부산형무소 이감, 10. 출감
  • 0621 월운해룡(1929-2023) B.
  • 01.01 조선일보
조선고문화(朝鮮古文化)는모다불교(佛敎)에서발원(發源) 조선인(朝鮮人)에게업보(業報)의신인생관주입(新人生觀注入)
  • 03 진진응(1873-1942), 종회의장 피선
  • 운허용하, 만주에서 봉천 보성학교 교장 취임
  • 박대륜, 종로에 유점사 경성포교당(불이성 법륜사) 설립
  • 0107 조선불교선교양종 승려대회, 환응탄영(幻應坦泳)을 교정敎正으로 추대

1928

  • 해인사 소임자 교체, 감무(監務) 허능산(許綾山), 법무(法務) 백채성(白采成), 감사(監事) 정홍권(鄭弘權)
  • 고경덕원古鏡德元 강백이 강설
  • 고경, 해인사 감무(監務) 역임
  • 12.31 조선일보
해인사간부개선(海印寺幹部改選)
  • 05 진진응(1873-1942), 화엄사 주지선출
  • 동곡일타(東谷日陀, 1928-1999) B.
  • 박병선 박사(1928-2011) B.
  • Erik Zürcher(에릭 쥐르허, 1928-2008) B. 네덜란드.

1927

  • 백경하白景霞(백경하(재영, 1869-1957)  해인사 제6대 주지
  • 도삼, 해인사 약수암 중건
  • 11.09 조선일보
해인사주지경질(海印寺住持更迭)강릉월정사(江陵月精寺) 포교당존독결완(布敎堂存讀决完)
  • 05.01
하용화 河龍華師 화엄사 주지 만기
  • 02.24
화엄사 주지선거, 후보 하용화, 진진응, 박성원
  • 난조분유 (南条文雄, 1849-1927) D.
  • 숭산행원(崇山行願, 1927-2004) B.

1926

  • 개운사 불교강원 설립
  • 고경, 해인사 법무(法務) 역임
  • 임환경, 해인사 대웅보전앞 탑 복원공사
  • 임환경, 만해 한용운 초빙, 영자전(홍제암)에서 설법하도록 함.
  • 1011 Thích Nhất Hạnh(釋一行, 틱낫한, 1926-2022) B. 후에, 안남,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베트남)
  • 05.22 매일신보
李晦光에게 속은 陜川海印寺憤起 한성은행두 최와 리원석씨를 상대하야 소송을 뎨긔하엿다

1925

  • 해인사강원 다시 문을 열고 동산東山, 고경이 강의.
  • 고경, 해인사 경리위원(經理委員) 역임
  • 심검당에서 만일회 결성
  • 05.01 조선일보
욕불일(浴佛日)에교도탄원(敎徒嘆願)
  • 서경수(1925~1986) B.
  • 통도사 학림 폐교

1924

  • 1924/1922 대정신수대장경 간행위원회 착수, 일본
  • 11 화엄사, 본사로 지정
  • 9월 이회광이 쫒겨나고 김만응 金萬應이 해인사 주지
  • 고경, 해인사로 돌아와 불교전수강당 강사, 금강계단 교수아사리를 역임
  • 08.18 동아일보
이회광(李晦光)의 과실(過失)로 해인사의 대치욕(大恥辱)
  • 03 단재 신채호, 베이징 순치문 내 석등암에서 출가, 북경 교외 관음사에 승려가 됨.
  • 불교사, 잡지 불교 발간

1923

  • 해인사의 승려들, 이회광 사임탄원서 총독부에 제출, 해인사 지방학림 폐지
  • 단재 신채호,  ⟪조선혁명선언 朝鮮革命宣言⟫ 작성

1922

  • 송광사 주지 설월(雪月), 율암(栗庵), 건물 중수
  • 인도고고학국장 John Marshall, 1922-1923년 모헨조 다로 발굴
  • 12.01 조선일보
조선불교혁신론(朝鮮佛敎革新論)(팔(八))
  • 리즈 데이비스(Thomas William Rhys Davids, 1843-1922) D.
  • 이기영(李箕永, 1922-1996) B. 황해도 사리원
  • 원의범(元義範, 1922~2017) B.
  • 정태혁(1922~2015) B.
  • 선학원, 선우공제회 결성 (발기. 송만공, 한용운 등 79인)

1921

음사월팔일(陰四月八日)에 보명학교운동(普明學校運動)독립(獨立)을동운(動運)하든 승려등(僧侶等)의공판(公判)
  • 0209 김학산金學傘 입적
  • 0121 선암사, 김학산 金學傘을 화엄사 주지로 추천, 전남도지사, 주지발령.
  • 0108 김영환(金英煥 Kim Young-hwan, 1921-1945) 대령 B.
  • 호명(浩溟), 고창 선운사 주지
  • 삼장역회 E. 백용성
  • 대각교당 E. 백용성
  • 0215 얀 윌렘 드용 (Jan Willem de Jong: 1921-2000) B. Leiden. 네덜란드

1920

  • 서울 정동에 해인사중앙포교소海印寺中央布敎所 사찰 건립(이회광) 
  • 금명보정, 보조지눌을 비롯한 송광사 중심으로 활동한 승려들의 전기를 편집하여 ⟪조계고승전⟫ 저술
  • 12.23 조선일보
불교중앙포교소(佛敎中央布敎所) 입불식거행(入佛式擧行)이회광(李晦光)예하(下)에셔조선불교운동상(朝鮮佛敎運動上) 이대조류(二大潮流) 의충돌(衝突) =강대련대이회광(姜大蓮對李晦光)
  • 1114 진진응, 화엄사 주지 임기 만료
  • 올덴베르그 (Hermann Oldenberg ,1854-1920) D.
  • 혜암성관 (慧菴性觀, 1920-2001) B.
  • 0928 유관순(柳寬順, 1902-1920) D.
  • 02 이학수(운허스님), 독립운동기관 광한단(光韓團) 조직

1919

기미 己未

1918

  • 해인사 강원은 문을 닫고 극락전에 지방학림地方學林을 개설
  • 판전서재에 봉안했던 16나한상을 이안하고 응진전이라고 붙임, 수선사를 조사전으로 개칭, 역대 고승의 영정 봉안
  • 에밀 기메(Émile Étienne Guimet, 1836-1918), D.
  • 이능화, 조선불교통사 출판
  • 호은문성(1850~1918) D

1917

  • 제산霽山(해인사 주지), 고암, 제산을 은사로 출가, 궁현당 증축
  • 제월선사, 해행당(조사전/수선사) 중창 후 수선사 편액.
  • 10.30 매일신보
해인사 팔상의식(八相儀式)
  • 1225 손경산(1917-1979) B. 함북 북청

1916

  • 가을 최치원의 영정을 후손인 감찰(監察) 최한룡(崔翰龍), 구한말 왜적에게 약탈애 대비하여 해인사 주지 이회광과 협의하여 청도의 일곡日谷으로 옮김
  • 조선총독부 조사, 승려수 8,400명
  •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E. 

1915

  • 03. 불교진흥회월보佛敎振興會月報 발행, 편집인 겸 발행인 이능화李能和
  • 장경각 건물 개축
  • 10.30
총독부, 장경 6만매 인경해인사 장경사 개축
  • 불교중앙학림 설치, 주요 본산에 강숙 설립
  • 예천불교회 조직, 안진호
  • 04.25월하(月下, 1915-2003) B.

1914

  • 일붕 서경보 徐京保 (1914-1996) B.
  • 고경, 혜명학교 교감 역임하고 해인사를 떠남
  • 금명보정, 송광사 보제당에 강원 설치
  • 조선총독부 조사, 비구 6,834, 비구니 1066명
  • 0113 30본산 주지회의, 고등불교 전문강당 설립, 동대문 인근 주지회의원
  • 예천 용문사, 명봉사 연합으로 불교포교당 '대본산 김룡사 말사 용문사 명봉사 예천포교소' 설립

1913

  • 0616 장기림, 선암사 주지인가
  • 05 이교담(李交倓), 중앙포교당에서 팔상록(八相錄) 간행
  • 탄허택성(呑虛宅成, 1913-1983) B.
  • 스리랑카 승려 Dharmapāla(1864-1933) 석가모니 진신사리 들여옴.
  • 0308 구하, 명신학교明新學校 교장 취임
  • 만해 한용운, 통도사에서 대장경 열람

1912

불기 2456신해 辛亥
  • 1012 포산혜천(飽山慧天, 윤달선 尹達善 1912-1971) B.
  • 1010 서옹(西翁, 1912-2003) B.
  • 0722 불교지도자 회의, 고등불교 전문강당 설립합의, 동대문 인근 주지회의원(박한영, 이회광)
  • 05 만해, 박한영, 오성월 등의 주축으로 임제종 포교당 E. 서울 사동(인사동)
  • 구하(九河, 1872-1965), 마산포교당 E. 
  • 이종익(李鍾益, 1912-1991) B.
  • 0425 경허성우(1849-1912) D.
  • 0415 김일성(1912-1994) B.
  • 0415 타이타닉호 침몰
  • 0406 퇴옹성철(性徹, 1912-1993) B.
  • 0118 향곡혜림 (香谷蕙林, 1912-1978) B. 경북 영일군
  • 中村元(나카무라 하지메, 1912-1999) B.
  • 회광유선(1862-1933) 해인사 주지 취임

1911

  • 박한영, 진진응, 만해 주도로 원종에 대항하여 임제종 설립 
  • 원종, 임제종 종료
  • 1130 화엄사 주지, 박포월 朴抱月
  • 0708 조선총독부, 사찰령시행규칙 공포
  • 0603 조선총독부, 사찰령 발령
  • 자은율사(1911-1987) B.
  • 백용성, 종로 봉익동에 대각사 E.
  • 12월 총독부는 해인사 초대주지로 이회광李晦光, 1862-1933을 인가
  • 해인사 고적 발간 (ver.4, 85장, 24개 목차)
  • 30본산 지정 시 해인사는 16개 말사를 관장하는 본산으로 지정
  • 구하, 사립불교 명신학교 설립자로 인가, 조선총독부
  • 구하(九河天輔, 1872-1965), 통도사 주지
  • 금해관영, 유점사본 조상경을 저본으로 한담양 용화사본 복장진언 필사 
  • 태국, 왓 벤자마보핏사원(วัดเบญจมบพิตรดุสิตวนาราม) E.
  • 엄의산(嚴義山), 논산 관촉사 주지(1911~1926, 약 15년간 재임)

1910

경술 庚戌
  • 만해, 조선불교유신론 출판
  • 0829 한일병탄(한일합방)
  • 이회광, 일본인 승려 武田範之(다케다 한시)를 원종 고문으로 임명, 曺洞宗 소토슈와의 연합 추진
  • 삼각산 태고사, 현 위치로 이동, 조계사 E.
  • 각황사 E.
  • 조선총독부 내무부 지방국 사사계, 전국  372개 사찰 전수조사
  • The Sacred Books of the East (동방성서, 1879-1910) 완간
  • 0316 경봉정석(1892-1982), 명신학교明新學校 졸업

1909

  • 일본 조동종(曹洞宗) 승려 우치다[內田佛觀], 군산에 금강선사 E.  (이후 군산 동국사)
  • 1026 안중근, 이토히로부미  저격, 만주 하얼빈 역

1908

북방불기 2935
  • 이회광 주도로 각도 사찰대표 65인, 원종설립
  • 조선불교 원종, 각황사(조계사 전신) 건립
  • Paul Pelliot(1878-1945), 왕오천축국전 발견(간쑤성 둔황 모가오굴)
  • 해인사 강원, 혼허서응渾虛瑞應, 고경古鏡, 설호, 초월初月, 혼원混元, 일우日宇, 보해寶海 스님이 궁현당窮玄堂에서 강의.
  • 사운당四雲堂에는 영해문석 총섭暎海文晳總攝이 강설 
  • 관음전을 중건하고 심검당으로 개칭, 궁현당 중창
  • 이회광, 천상궁(千尙宮)의 시주로 관음전(심검당) 중건
  • 정혜사(수덕사) 견성암 E. 비구니 도준.

1907

  • 해인사 강원, 만암曼庵스님이 사운당四雲堂에서 강의. 혼원混元이 해인사 선원에서 안거
  • 0810 영암임성(暎巖任性), 박기종(朴淇宗, 1907-1987) B. 울산시 중남면
  • 0509 Walpola Rāhula(월폴라 라훌라, 1907-1997) B. Sri Lanka, Galle, Walpola

1906

  • 원흥사에서 홍월초, 이보담 주축으로 불교연구회 E.
  • 명월당(현 보경당)에 명립보통학교明立普通學敎를 설립
  • 0603 구하스님, 명신학교 학감 취임
  • 0527 พุทธทาส (Buddhadāsa, 1906-1993) B.
  • 0410 명진학교 E.
  • 0401 통도사, 명신학교明新學校 E.

1905

을사
  • 1120 장지연(韋庵 張志淵, 1864-1921),  ⟪이날을 목놓아 통곡하노라 / 是日也 放聲大哭⟫ 발표
  • 1117 을사늑약 (을사오적:박제순, 이지용, 이근택, 이완용, 권중현) 체결
  • 07 승려 도성출입금지, 해제와 금지가 반복되다가 완전히 해제
  • 우현(又玄) 고유섭(高裕燮, 1905-1944) B.

1904

  • 해인사 독성각 자리에 삼성각 건립
  • 남전한규(南泉翰奎, 1868-1936), 해인사 주지
  • 동암당(東庵堂) 성수(性洙, 1904~1969) B.
  • 차성주 車性主 비구니, 해인사 약수암 창건
  • 0729 Mahāsī Sayādaw U Sobhana (1904-1982) B
  • The Siam Society Under Royal Patronage (สยามสมาคมในพระบรมราชูปถัมภ์) E.
  • 0526 금봉 효당 최범술(1904-1979) B, 경남 사천

1903

  • 1121 에띠엔느 라모뜨(Étienne Paul Marie Lamotte, 1903-1983) B. Dinant, Belgium
  • 양주동(梁柱東, 1903-1977) B.

1902

  • 원흥사(元興寺, 현 창신초등학교 자리) E, 수사찰로 정하고 전국 16개 중법산으로 지정
  • 해인사, 영남 중법산 수사찰로 지정
  • 해인사 교정(회광유선), 부교정(호은), 선의(경허성우), 강의(제봉)
  • 1216 유관순(柳寬順, 1902-1920) B.
  • 01 원흥사 건립, 동대문 밖 별장 영미정 潁眉亭을 매입, 건축비, 20만냥
  • 화담법린(華曇法璘, 1848-1902) D.

1901

  • 해인사 퇴설당 중창(범운)
  • 水野弘元 (Mizuno Kogen, 1901-2006) B.
  • 12 소흥사(紹興寺) 건립, 이후 원흥사 자리

1900

불기 2444단기 4233庚子대한제국(大韓帝國) 고종(高宗) 37년대한제국(大韓帝國) 광무(光武) 4년
  • 해인사 강원, 범운(梵雲), 혜옹(慧翁).금파(錦坡).만성(晩聖).동은(東隱).월제(月霽).만응(萬應)이 홍제암에서 강론(講論).
  • 마하보디협회 마드라스 지부 설립. 
  • 1112 이제마(1837-1900) D. 조선의 한의학자 
  • 1030 오스카 와일드(1854-1900) D. 아일랜드의 극작가 
  • 1028 막스 뮐러(1823-1900) D.
  • 0825 프리드리히 니체(1844-1900) D. 독일철학자
  • 0810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이봉창(1900-1932) B.
  • 0629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1900-1944) B. 프랑스의 소설가 
  • 0528 박헌영(1900-1955) B.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 04 경허,  ⟪범어사총섭방함록⟫ 제작.
  • 0323 에리히 프롬(1900-1980) B. 독일의 철학자

1899

  • 수선사(해행당)건립
  • 경허, 퇴설당에  주석, 동수정혜결사 수행
  • 범운대사, 해탈문 중수
  • 담설행자 擔雪行者 김구경(金九經, 1899-?) B.

1898

  • 금명보정, 송광사 주지

1897

대한제국 광무 光武 1년정유
  • 1012 대한제국선포, 조선시대 종료

1896

  • 범해각안 (1820-1896) D.
  • I.B. Horner(Isaline Blew Horner, 1896-1981) B.
  • 묵담성우(黙潭聲祐, 1896~1981) D. *해동율맥 제9대

1894

갑오 甲午
  • 0913 Paul Demiéville (1894-1979) B. Lausanne, Swiss
  • 0727 갑오개혁/갑오경장
  • 김옥균 (1851-1894) D

1893

  • 프랑스 기메박물관, 한국관 개관
  • 알렉산더 커닝햄(Alexander Cunningham, 1814~1893), D.
  • 자홍, 삼선암 E.

1892

  • 6월 해인사 팔상도 제작/복원,  ; 金魚 友松爽洙, 出草는 斗明比丘가 해인사 삼화상 진영을 그림 가운데 희랑, 좌우로 순응 이정으로 추정
  • 민형탁(閔炯托), 범운화상에 의해 경학원(景洪殿) 건립, 삼전위축소(三殿爲祝所=왕, 왕후, 세자)로 명명
  • 경봉(鏡峰, 1892-1982) B.
  • 0225(음) 운허용하(耘虛龍夏,이학수, 1892-1980) B. 평북 정주 신안
  • 비말라 추른 로(B.C. Law, 1892-1969) B.

1891

  • 마하보디협회 설립, 스리랑카출신 Dharmapala.
  • Bhimrao Ramji Ambedkar (암베드까르, 1891-1956) B.   Indore 부근, 작은 마을 Mhow, 불가촉천민
  • 1217 胡適, Hú Shì, 호적, 1891-1962)  B.
  • P.L Vaidya (1891-1978) B. *Sanskrit editor

1887

  • 해인사 궁현당 중수
  • 해인사 심검당에서 염불회 결성

1886

  • ⟪고승법현전⟫, 영역, James Legge 출간

1884

갑신 甲申
  • ver.1 해인사 고적 복원작업
  • 지암종욱(智庵鍾郁, 이종욱 1884~1968) B.
  • 1204 갑신정변 Gapsin Coup 
  • 무불(각지몽성, 탁정식 卓挺埴, 1851-1884 ) D

1883

  • 0619 법운진종(法雲振宗) 박대륜(朴大輪, 1883-1979) B. 

1882

  •  이고경(1882-1943) B.

1881

  •  T.W. Rhys Davids, PTS 창립
  • 0315 이동인, 행방불명

1880

  • 1208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1880-1936) B.
  • 진호석연(震湖錫淵, 안진호, 1880-1965) B. 경북 예천

1879

1878

  • 백초월(1878-1944) B.
  • 폴 펠리오(Paul Eugène Pelliot, 1878-1945) B.
  • 남양주 흥국사, 대방(大房) E.

1877

  • 10 일본, 부산에 정토진종 본원사 부산별원 E.
  • 활해성여(闊海性如, 1804-1877) D

1875

  • 미국에서 Theosophical Society 신지학회 설립. Helena Petrovna Blavatsky, Henry Steel Olcott.
  • 강대련(1875-1942) B.
  • 계룡산 갑사 중건

1874

  • 해인사 고적발간(ver.3, 29장, 12개 목차) ver.3를 다시 인출하고 내용 추가, 퇴암(退庵), 해인사 화재기록인 「해인사실화적(海印寺失火蹟) 제작
  • 알렉산더 커닝햄(Alexander Cunningham, 1814~1893), Bhārhut stūpa 발굴
  • 인도예술품 목록 발간 (사우스켄싱턴박물관 전시)

1873

고종 10

1872

1871

  • 0415 - 0912 미얀마 5차 결집
  • 해인사 8차 대형화재, 법성료(法性寮)가 다시 불에 탐.
  • 묘련사, 거사들의 관음신앙결사 시작
  • 만공월면 (1871-1946) B

1870

  • 박한영 (1870-1948) B.
  • 월창 김대현(?-1870) D.
  • 스즈키 다이세츠(鈴木大拙, 1870-1966) B.

1869

  • 루이 드 라 발레 뿌쎙 (Louis Étienne Joseph Marie de La Vallée-Poussin, 1869-1938) B.
  • 무능거사 간정 (侃亭) 이능화(李能和, 1869-1943) B.

1868

  • 해강 김규진(金圭鎭, 1868~1933) B

1866

병인 丙寅
  • 1015 병인양요 丙寅洋擾 발발
  • 외규장각 귀중도서, 프랑스에 약탈당함
  • 양인산(楊仁山), 금릉각경처(金陵刻經處, Jinling kejingchu) E.
  • 초의의순(1786~1866) D.

1865

  • 근담화상, 퇴설당 해체보수
  • Alfred Charles Auguste Foucher 알프레드 푸쉐 (1865–1952) B.
  • ⟪고승법현전⟫, 영역, Samuel Beal

1864

  • 용성진종(1864~1940) B.

1863

  • 실뱅 레비(Sylvain Lévi, 1863-1935) B.

1862

  • 이회광(李晦光, 1862-1933) B.

1861

  • 박영효(1861-1939) B

1860

  • 해인사 법당 소규모 수리

1858

  • 월초(홍거연 巨淵, 1858-1934) B.

1856

  • 추사 김정희(1788-1856) D.
  • 금해관영(錦海瓘英, 1856-1937) B.
  • 도솔암 (해인사 지족암) E. 추담

1854

  • 올덴베르그 Hermann Oldenberg (1854-1920) B.

1852

  • 유진 뷔르노프(Eugène Burnouf, 1801-1852) D.
  • 백파긍선(1767-1852) D.
  • 우룡, 해인사 원당암 중수

1851

  • 무불(각지몽성, 탁정식 卓挺埴, 1851-1884 ) B
  • 김옥균 (1851-1894) B

1850

  • 호은문성(1850~1918) B

1849

  • 난조분유 (南条文雄, 1849-1927) B.

1848

  • 알렉산더 커닝햄 (A. Cunningham), 파키스탄, 라니가트 유적 방문
  • 화담법린(華曇法璘, 1848-1902) B.

1847

  • Wat suthat(Wat Suthat Thepwararam, วัดสุทัศนเทพวราราม), E. 태국, 방콕
  • 04 환응탄영(幻應坦泳, 1847-1929) B. 전북 고창

1846

  • 경허성우(1846-1912) B
  • 인파유안(仁坡由安, ? -1846) D.

1844

  • 유진 뷔르노프(E.Burnouf), 인도불교사서설(L'introduction de l'histoire du Buddhisme indien) 출간

1843

  • 리즈 데이비스(Thomas William Rhys Davids, 1843-1922) B.

1842

  • 송광사, 대형화재 (헌종8년)

1840

  • 태국, 라마3세, 베트남의 위협으로부터 불교를 지킨다는 명목으로 캄보디아로 출정
  • 0422 James Prinsep(1799-1840) D.

1837

  • 알렉산더 커닝햄(Alexander Cunningham, 1814~1893), 사르나트(Sarnath) 녹야원 유적 발굴
  • 브라이언 (Brian H. Hodgson, 1800-1896, 동인도회사 직원)이 보낸 카트만두 발굴 불교필사본, 프랑스에 도착
  • '필사본 기반 불교학'체계(유진 뷔르노프), 근대불교학의 시작

1836

  • 에밀 기메(Émile Étienne Guimet, 1836-1918), B. Lyon, France
  • Vajirañāṇo, wat Bowon(태국 방콕), 1대 주지
  • 고승법현전⟫, 프랑스어역, Jean Pierre Abel Remusat, Foe Koue Ki, ou Relation des royaumes bouddhiques, voyage dans la Tartarie 출간

1835

  • 함월요 자리에 응향각 건립

1833

  • 화재로 전소된 월정사, 영담, 정암 스님이 중건
  • Dhammayuttika Nikaya / Thammayut ธรรมยุติกนิกาย/ธรรมยุต) E. Vajirañāṇo Bhikkhu(King Mongkut)

1827

1824

  • Wat Bowonniwet Vihara / Wat Pavaranivesh Vihara Ratchawarawihan (วัดบวรนิเวศวิหารราชวรวิหา) E. 태국, 방콕
  • 금강산 유점사본 ⟪조상경/점안문제진언⟫간행 聳虛 발원, 華嶽知濯 수정 및 고증, 影海呂訓(용허화상의 제자) 필사.

1823

  • 막스 뮐러(Max Müller, 1823-1900) B.
  • 윤우, 혜장, 초의 등,  『대둔사지(大芚寺志)』편찬

1820

  • 범해각안 (1820-1896) B.

1818

  • 해인사 대적광전 중건

1817

  • 해인사 7차 대형화재 대적광전 소실, 추사 김정희의 아버지였던 관찰사 김노경(金露敬)의 도움으로 영월(影月)·연월(淵月) 등이 소규모로 중건하였다. 제월선사가 퇴설당을 중창하여 해행당이라고 하고, 수선사라고 명명하고 선원으로 사용하였다.
  • 성안대사, 응진전 중건
  • 해탈문 중건
  • 봉황문 건립
  • 제월(霽月)과 성안(聖岸), 현 대적광전 건립

1814

알렉산더 커닝햄(Alexander Cunningham, 1814~1893), B.

1809

1804

  • 활해성여(闊海性如, 1804-1877) B
  • 0113 경암(鏡巖) 관식(慣拭, 응윤應允, 1743-1804) D

1801

  • 유진 뷔르노프(Eugène Burnouf, 1801-1852) B.
  • 왓 포(wat pho,วัดโพธิ์) 중건(re-establishment), 태국 방콕

1800

  • 暎月, ⟪진언집 眞言集⟫ 간행

1799

  • 연담유일(蓮潭有一, 1720-1799) D.
  • 0820 James Prinsep(1799-1840) B.

1797

1795

  • 해명쌍림, 해인사 백련암 광풍루, 조실채 창건

1794

  • 윌리엄 존스(William Jones, 1746-1794)  D.

1791

  • 단원 김홍도, 연풍(충북 괴산), 公靜山(조령산) 상암사(上庵寺)에 월급을 모두 시주

1790

  • 정조, 폐사된 갈양사터에 용주사를 건립
  • 단원 김홍도, 용주사 불화 제작

1788

  • 추사 김정희(1788-1856) B.

1785

  • 5년 만에 성파(惺坡)가 해인사 중건
  • Padre Tieffenthaler(패드르 티펜탈러), 바라바르 석굴비문(Barabar Hill Cave inscription) 발
  • A. Polier 대위, 델리에서 발견한 토프라 석주비명(Delhi Topra Pillar)을 윌리엄 존스(William Jones, 1746-1794)에게 전달

1784

  • 태국 방콕, 왓 프라깨우( Wat Phra Si Rattana Satsadaram, วัดพระแก้ว) E.
  • Padre Tieffenthaler(패드르 티펜탈러), 라우리야(Lauriya Araraj) 아쇼카 석주 발견
  • 윌리엄 존슨, The Asiatic Society of Bengal (벵갈 아시아학회) E.
  • ⟪밀교개간집 密敎開刊集⟫ 간행

1780

  • 해인사 6차 대형화재 1월, 불당 3채, 승료7채 소실, 무설전에 화재, 경궤소실

1769

  • 진허팔관(振虛捌關), 《삼문직지》 발간.

1767

  • Ayutthaya Kingdom (1350-1767) 멸망, 태국
  • 백파긍선(1767-1852) B

1763

  • 대둔사 괘불도 조성

1763

  • 해인사 5차 대형화재, 해인사의 종이 녹아 소실, 
  • 관찰사 김상철(金尙喆)의 협조로 설파(雪坡)가 중건

1761

  • 상정(18세기 대표 조각승), 해인사 백련암 목조여래좌상(유형문화재 601호) 제작

1753

  • 스리랑카왕 Kīrti Śrī Rājasiṃha(1747-1782), 태국 아유타야에서 황금불상, 불교경전 수입, Upāli장로 등 25명의 비구 초청, 구족계(Upasampadā) 수계함으로서 스리랑카 승단 복원

1750

  • 궁현당 중창
  • Padre Tieffenthaler(패드르 티펜탈러), 델리 미라트 석주, Allahabad Kausambi Pillar 일부 아쇼카 석주 발견

1749

  • 혜식(慧湜) 스님이 그린 묘원선사의 대송원묘(對松妙圓, ?-1683)의 진영 제작

1746

  • 윌리엄 존스(William Jones, 1746-1794)  B.
  •  상주 운달산 김룡사⟪조상⟫간행

1743

  • 해인사 4차 대형화재 (초대형), 경상도 관찰사 김상성(金尙星)의 도움으로 능운(凌雲)이 중건
  • 경암관식 (鏡巖慣拭,應允, 1743-1804) B

1735

  • 건륭대장경(1735-1738) 조성

1729

  • 환성지안(喚醒志安, 1664~1729) D

1721

  • 스리랑카 비구승단 소멸
* (스리랑카왕 Vamaladharma-sūrya I (1591-1604), 미얀마 비구를 초빙해 스리랑카 법맥을 이으려 시도했으나 실패)

1720

  • 화엄사본 ⟪화엄조상⟫ 간행
  • 연담유일(蓮潭有一, 1720-1799) B.

1708

  • 풍계명찰(楓溪明察, 1640-1708) D, 해인사 백련암

1703

  • 모운진언(暮雲震彦/言, 1622-1703) D.

1701

  • 해인사 고적 발간(ver.2, 25장, 10개 목차) ver.1에 추가 원문 목판 제작후 재인쇄

1700

  • 백암성총(栢庵性聰, 1631∼1700) D.

1697

  • 0220 침운담화 (枕雲曇華, ?-1697) D.
  • 팔영산 능가사본 관상의궤 觀想儀軌 간행

1696

  • 해인사 3차 대형화재, 서쪽 여러 요사와 무설전(無說殿)이 소실, 뇌음(雷音)이 중건

1695

  • 해인사 2차 대형화재, 만월당(滿月堂)·원음루(圓音樓)가 소실

1694

  • 허백명조의 승가예의문 옥천사에서 간행

1692

1690

  •  환적의천 (幻寂義天, 1603~l690) D

1687

  • 환적의천 (幻寂義天, 1603~l690), 해인사 백련암 원통전 E. 이후 응해(應海)가 중건

1683

  • 0729 대송원묘(對松妙圓, ?-1683, 松坡의 제자) D
  • 대흥사 진불암 중건

1680

  • 백곡처능(1617~1680) D.

1675

  • 송파(1596-1675) D. *사명대사 문도
  • 융신 融信, 대흥사 만일암 중건

1673

  • 송파(1596-1675) D. *사명대사 문도
  • 융신 融信, 대흥사 만일암 중건

1670

  • 허백명조의 승가예의문 통도사에서 간행

1668

  • 취여삼우 醉如三愚,  ⟪대둔사대웅전중건기⟫ 출간

1667

  • 대흥사 중창불사 완공

1665

  • 심수(心粹) 등이 대흥사 대웅전 중창불사 시작

1664

  • 환성지안(喚醒志安, 1664~1729) B

1662

  • 해인사고적 海印寺事蹟  발간 (ver.1, 24장/9개 목차)

1661

  •  ⟪오종범음집 五種梵音集⟫ 간행

1660

  • 해인사 1차 대형화재 540칸  소실
  • 나암진일의 석문가례초 간행

1659

  • 매곡경일, 석문가례초 발문 씀.

1657

  • 벽암각성의 석문상의초 釋門喪儀抄, 백곡처능이 칠불암에서 간행, 등광사에서 개판

1655

  • 향산(香山)에 있던 청허휴정의 옥발우, 가사, 신 등 유품을 대흥사로 옮겨 옴

1655

  • 효종, 벽암각성이 주석하는 화엄사를 선종대가람 禪宗大伽藍으로 지정.

1647

  • 청허휴정의 비와 부도 대흥사에 건립
  • 회은응준 悔隱應俊, 팔도도총섭 임명

1644

  • 편양언기(1581~ 1644) D.

1640

  • 풍계명찰(楓溪明察, 1640-1708) B

1636

  • 벽암각성, 화엄사 방장실에서 석문상의초 서문 씀.

1631

  • 백암성총(栢庵性聰, 1631∼1700) B

1630

  • 극현 克玄, 덕호德浩 등이 대흥사 진불암 중건

1623

인조 1년
  • 승려들, 도성출입금지 강화

1622

  • 모운진언(暮雲震彦/言, 1622-1703) B.

1621

  • 궁현당 중창

1617

  • 백곡처능(1617~1680) B.
  • 여성(如惺), 《명고승전》(明高僧傳) 편찬

1612

  • 허균, 홍제암 사명대사 석장비 씀
  • 벽암각성(碧巖覺性, 1575-1660), 봉은사 주지, 판교도총섭(判禪敎都摠攝)

1610

  • 유정사명(1544-1610) D.

1608

  • 사명, 벽암각성, 법주사에 팔상전 등 중건
  • 송운(松雲), 해인사 백련암 기와공사

1606

1605

  • 사명, 벽암각성, 법주사에 팔상전 등 중건
  • 서산대사 문도 소암(昭庵), 해인사 백련암 중창

1604

조선 선조 37
  • 청허휴정(休靜, 1520-1604) D.
  • 사명유정, 일본사절 도쿠가와와 협상, 포로3500명 귀환
  • 계룡산 갑사 중창
  • 청허휴정의 의발, 대흥사에 봉안

1603

  • 환적의천 (幻寂義天, 1603~l690) B

1598

선조 31
  • 1216 이순신(1545-1598) D.

1597

정유 丁酉
  • 08 정유재란 丁酉再亂
  • 계룡산 갑사 소실

1596

  • 송파(1596-1675, 사명대사 문도) B

1594

  • 처영, 호남에서 승병 1,000명과 함께 권율의 남원 교룡산성 구축에 조력
  • 사명대사 유정, 경남 의령에서 보리를 파종하여 군량에 대비
  • 경상 우도 총섭승(總攝僧) 신열(信悅), 각 사찰의 위전(位田)에 보리 종자 파종, 가야산(伽倻山) 해인사(海印寺)에서 화살을 제작 

1592

임진 壬辰
  • 임진왜란, 일본, 조선침략

1589

  • 가흥대장경(1589-1677) 조성

1581

  • 편양언기(1581~ 1644) B.

1575

1565

  • 허응보우(1505∼1565) D.

1552

  • 승과실시, 도첩제도 재시행
*1551 통계자료
승과실시 선종 예비합격자 400명최종급제자 33명봉은사

1551

  • 허응보우, 판선종사도대선사(判禪宗事都大禪師) 봉은사 주지(奉恩寺住持) 임명

1545

  • 0428 이순신(1545-1598) B. 서울 중구 을지로

1544

  • 유정사명(惟政, 1544-1610) B.

1520

  • 청허휴정(休靜, 1520-1604) B.

1509

중종 4
  • 蒙山和尙六道普說 몽산화상육도보설 개판 開板, 대광사판본大光寺版本

1505

  • 허응보우(1505∼1565) B.

1504

  • 원각사, 폐사조치, (연산군 10년)

1500

1497

연산군 3홍치 弘治 10
  • 蒙山和尙六道普說 몽산화상육도보설 개판 開板, 용출산 聳出山 현암 懸庵.

1493

  • 설잠雪岑 김시습(金時習, 1435~1493) D.

1491

  • 해인사 중창 완료 160칸 규모
  • 임사홍(任士洪)의 기와 조위(曺偉)가 기록한 「해인사중창기(海印寺重創記) 를 씀

1490

  • 해인사 대적광전 건립
  • 설호대사, 선열당, 사운당 중건
  • 蒙山和尙六道普說 몽산화상육도보설 개판 開板, 황해도 黃海道 서진지 瑞眞地 자비령사판본 慈悲嶺寺版本

1450

  • 0515 세종대왕(1418-1450) D

1489

  • 해인사 중창진행
다음해 기유년(1489) 봄에는 쌀과 포목을 시사하고 또 그 다음해에도 시주하여 궁현당, 탐진당, 감물당, 쌍운당과 일원료, 곡응료, 총지료, 도병료와 강당으로 무설당과 식당으로 만월당을 지었다. 그 다음해에 비로전을 다시지어 대적광전이라 이름을 고치고 주불과 보처존을 개금하며 원음루라는 종루와 불이문이라는 중문을 지었다. 또 구 대장전을 뜯어 대적광전 동쪽에 옮겨 짓고 함허료라 이름하여 은자대장경 몇 권을 모시고 또 해설료, 숙연료, 현감료, 원융료, 쌍할료, 호연료, 두원료, 연기료, 명진료, 현근료, 달곡료, 성행료, 중영료, 전생료, 작숙료를 짓고 동서루고를 지었으니 동은 무진장, 서는 이영고이다. 무려 집 160칸을 짓되 어떤 것은 낡은 것보다 크게 짓기도 하고 어떤 것은 작게 짓기도 하면서 규모가 화려하고 정화롭기는 몇 배나 더했으며 공수간, 목욕탕, 헛간, 변소라든가 범종, 목어, 운판, 법고의 기물도 모두 갖추어 새롭게 하였고 금벽색의 단청이 산곡을 휘황찬란케 하였다. 역사를 마치고는 9월 보름에 고승대덕 수천인을 초청하여 법회를 굉장하게 베풀어 낙성하니 산문의 할 만한 일이 비로소 끝났다. 

1488

무신 戊申
  • 해인사 중창시작, 해해당
무신년(1488) 봄에 내수사의 쌀과 옷감을 희사하며 도료장 박중석 등을 보내어 장경판당을 30칸으로 증개축하고 보안당이라 이름하였다. 그리고 이전 판당 중에서 불전 삼칸을 뜯어 대적광전 서쪽에 옮겨짓고 진상전이라 했고, 또 조당 3칸을 뜯어 진상전 곁에 옮겨 짓고 해해당이라 하였다.
  • 학조대사, 응진전 창건, 역대 선사 영전 봉안
  • 인수왕비(仁粹王妃)와 인혜왕비(仁惠王妃)가 학조(學祖)에게 공사를 감독할 것을 명하고 대장경판당(大藏經板堂)을 중건, 대적광전, 법당, 요사 160칸 신축

1487

  • 해인사 중창계획
학조가 승정원에 나가 아뢰기를 “신이 일찍이 정희왕후의 의지를 받고 해인사대장경판당을 중창하려고 하였으나, 일은 크고 힘은 미약하여 세월을 미뤄오다가, 바람이 치고 비가 새어 거의 다 무너졌으니, 청컨대 다시 연소(年少)한 중을 택하여 맡기소서.”하자, 전교하기를 “이 당을 수창하는 것은 부처를 위함이 아니라, 이웃 나라의 구청(求請)을 위함이다. 네가 만약 중수할 수 없다면, 마땅히 일찍 와서 고할 것이지, 어찌 이제야 와서 사면하느냐?”하니 학조가 아뢰기를 “국가의 힘을 빌리지 않고 중수할 수 없기 때문에 감히 와서 아뢸 뿐입니다.”하였는데, 승정원에 전교하기를 “학조는 선왕 때에 중히 여기던 중이고, 나도 또한 정희왕후의 의지를 친히 들었으니, 다른 중으로 대신하지 말고 그대로 학조로 하여금 맡게 하라. 올해에는 경상도의 농사가 조금 풍년이 들었으니, 예조로 하여금 감사에게 유시하여 수창하는 자금을 보조하게 하고, 만약에 부족할 것 같으면 내수사에서도 마땅히 보충하되, 다만 판당(板堂)만을 수보하고, 이 절은 중수(重修)하지 말도록 하라.”하였다. 

1486

  • 0106 효령대군(1396-1486) D

1483

  • 세조의 비 정희왕후(貞熹王后)가 해인사 중건을 계획했으나 이루지 못함

1474

  • 미얀마 왕 Dhammazedi, 구족계 전통 수입을 위해 22명의 비구 사절단을 스리랑카로 보냄.

1471

  • 간경도감(刊經都監) 해체

1467

  • 0408 원각사지 10층석탑 E.

1465

1464

  • 04 효령대군, 회암사(檜巖寺)에서 원각법회 개설

1461

  • 간경도감(刊經都監) 설치, 불경 언해사업 진행
  • 능엄경언해, 아미타경언해 활자 주조

1458

  • 대장경 50부 인출, 7.27. 왕에게 대장경 3벌을 바침
“영천부원군 윤사로(尹師路)와 조석문 등을 해인사에 보내어 불사(佛事)를 행하려고 하였으나, 사헌부(司憲府)에서 흉년이 들었으므로 보내는 것이 불가하다고 하였기 때문에 다만 조석문만을 보냈다. 7.28일

1457


  • 대장경 인출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에게 명하여 승정원(承政院)에 전지하기를 “《대장경(大藏經)》 50벌을 박아낼 종이 40만 6천 2백 권을, 여러 도에 나누어 유시(諭示)하여 중국 삼[漢麻]을 쓰고 닥나무 껍질[楮皮]과 섞어서 제조(製造)하여 바치게 하라.” <6월 20일> 경상도 관찰사 이극배(李克培)에게 유시(諭示)하기를 “《대장경》 50벌을 오는 봄철 2월부터 시작하여 해인사(海印寺)에서 모인(摹印)하여 모름지기 6월 전에 일을 마치게 하라. 지금 경차관(敬差官) 윤찬(尹贊), 정은(鄭垠)을 보내어 포치(布置)하게 하니, 경(卿)이 뜻을 기울여 시행하도록 하라.”하였다.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 황해도 관찰사에게 유시하기를 “《대장경》 50벌을 찍어 내는 데 들어갈 물자는, 충청도에서 종이가 5만 1천 1백 26권이고, 먹[墨]이 8백 75정(丁)이고 황랍(黃蠟)이 60근(觔)이요, 전라도에서 종이가 9만 9천 4권이고, 먹이 1천 7백 50정(丁)이고 황랍(黃蠟)이 1백 25근이요, 경상도에서 종이가 9만 9천 4권이고 먹이 1천 7백 50정(丁)이고 황납이 70근이고 호마유(胡麻油)가 1백 두(斗)이요, 강원도에서 종이가 4만 5천 1백 26권이고 먹이 8백 75정(丁)이고 황랍(黃蠟)이 1백 25근이요, 황해도에서 종이가 만1천 1백 26권이고 먹이 8백 75정(丁)이고 황랍(黃蠟)이 60근인데, 모두 관(官)에서 스스로 준비하여 해인사에 보내라. 만약 백성들의 닥나무[楮]를 거둔 것이 비록 1냥(兩)이라 하더라도 경들은 마땅히 큰 죄를 받을 것이다.”하였다. <6월 27일>
  • 정축자 활자 주조, 금강경 오가해, 금강경 삼가해

1456

불기 2000단기 3789
  • 0608 성삼문 D.
  • 박팽년 D.

1455

  • 매월당 김시습 설잠(1435-1493) B.
  • 을해자 병용한글자, 능엄경, 법화경, 원각경, 능가경 등 주조(활자본)

1451

  • 조선, 승려도성출입금지

1450

  • 신미, 선교종 도총섭(禪敎宗都摠攝) 밀전정법(密傳正法) 비지쌍운(悲智雙運) 우국이세(祐國利世) 원융무애(圓融無礙) 혜각 존자(慧覺尊者) 임명

1447

  • 한글창제 직후 불경들, 한글번역 시작
  • 석보상절 편찬 (활자본)
  • 월인천강지곡 편찬 (활자본)

1446

  • 훈민정음, 한글반포

1443

  • 0216 해인사를 태조가 지었다는 기록
경상도 관찰사에게 전지하기를 “합천군(陜川郡) 해인사(海印寺)는 바로 태조께서 지으신 것이라, 본군(本郡)의 수령(守令)으로 하여금 훼손된 곳이 있으면 즉시 수즙(修葺)하도록 일찍이 공문으로 보냈는데, 이제 모두 다 무너졌는데도 조금도 수리하지 않았다하니, 추핵(推劾)하여 아뢰도록 하고, 그 무너진 곳은 그 간사승(幹事僧) 해회(海會)의 말을 들어서 폐단 없이 수리하게 하라.”하였다. 

1440

  • 2.16 해인사를 태조가 지었다는 기록
경상도 관찰사에게 전지하기를 “합천군(陜川郡) 해인사(海印寺)는 바로 태조께서 지으신 것이라, 본군(本郡)의 수령(守令)으로 하여금 훼손된 곳이 있으면 즉시 수즙(修葺)하도록 일찍이 공문으로 보냈는데, 이제 모두 다 무너졌는데도 조금도 수리하지 않았다하니, 추핵(推劾)하여 아뢰도록 하고, 그 무너진 곳은 그 간사승(幹事僧) 해회(海會)의 말을 들어서 폐단 없이 수리하게 하라.”하였다. 
  • 영락북장(1410-1440) 조성

1438

  • 태국. Sukhothai Kingdom (1238-1438)

1435

  • 설잠雪岑 김시습(金時習, 1435~1493) B.

1433

  • 함허기화(1376~1433) D.

1432

세종 14
  • 蒙山和尙六道普說 몽산화상육도보설 개판 開板

1425

  • 보성(寶成), 석씨원류(釋氏源流) 편찬

1419

  • 세종, 최흥효 등에게 명해 금자법화경을 내불당으로 옮김

1418

  • 세종즉위, 궁내 내불당 설치

1413

  • 태조, 대장경 인출, 개경사開慶寺)에 보관

1412

  • 영락남장(1412-1417) 조성

1405

  • 무학자초(無學自超, 1327-1405) D. 금강산 금장암

1399

  • 1398년 강화 선원사 대장경판, 한양 지천사支天寺로 옮겨 보관, 다시 해인사로 옮김
1.9일 과정을 알 수는 없으나 곧 해인사로 재이동, 태상왕이 사재를 털어 해인사 경판을 인출 "경상도 감사에게 명하여 불경을 인쇄하는 승도(僧徒)에게 해인사(海印寺)에서 공궤(供饋)하게 하였다. 태상왕(太上王)이 사재(私財)로 《대장경(大藏經)》을 인쇄하여 만들고자 하니, 동북면(東北面)에 저축한 콩과 조 5백 40석을 단주(端州)·길주(吉州) 두 고을 창고에 납입하게 하고, 해인사(海印寺) 근방 여러 고을의 미두(米豆)와 그 수량대로 바꾸게 하였다."

1397

  • 0515 세종대왕(1418-1450) B

1396

1395

  • 송광사, 제16대 국사 고봉, 송광사 중창
  • 삼각산 태고사(조계사 전신) E.

1392

  • 태조 이성계(1335-1408), 무학자초(無學自超, 1327-1405)를 왕사로 봉함
  • 07 조선건국

1384

  • 무학대사, 이성계와 사제연을 맺음

1382

  • 태고보우(1301~1382) D.

1378

  • 불조직지심체요절, 목판본 판각, 여주 취암사(鷲巖寺)

1377

  • 전소된 오대산 월정사를 이일스님이 중창
  • 직지, 금속활자판 제작, 청주 흥덕사(興德寺), 자비도량참법집해 주조(번각본)

1376

  • 함허기화(1376~1433) B.
  • 나옹혜근(1320~1376) D.
  • 해인사 소장 실록 등을 선주 득익사로 옮김
9월에 왜구가 단계, 거창, 야로 등 현에 침입하였다. 가수현에 들어왔는데 도순문사 김광부가 전투에 패하여 죽었다. 해인사에 소장했던 역대 실록과 경, 사 여러 서적을 선주의 득익사로 옮겼다.” 
  • 04 나옹, 양주 회암사 중창

1374

  • 백운경한 (白雲景閑 Paegun Kyŏnghan, 1298/9-1374) D

1372

  • 백운경한 (白雲景閑 Paegun Kyŏnghan, 1298/9-1374) 直指, JIKJI 초록
  • 홍무남장(1372-1398) 조성

1365

  • 백운경한 (白雲景閑 Paegun Kyŏnghan, 1298/9-1374), 해주 신광사 주지 부임

1363

  • 실록을 해인사로 옮김
“전란의 여파로 사국(史局)에 소장된 사고와 실록이 겨우 몇 상자만 남게 되었다. 왕은 청주에 있었는데 공봉 곽추를 보내 해인사로 옮기도록 했다. ...... 왕이 환도하여 종묘의 신주를 미타사(彌陁寺)에 안치하고 환안도감을 설치했다. 백문보와 평양백 김경직이 일을 주관했다. 일이 더뎌 한 달이 넘자 왕이 화를 내며 독촉하니, 살펴볼 전적이 없다고 했다. 이에 사관(史官) 남영신을 해인사고에 보내 『삼례도』와 두우의 『통전』을 가져오게 했다.” 

1356

  • 0424 태고보우 왕사책봉, 공민왕 

1352

  • 03 휴휴선암에 머무르던 백운경한, 귀국
  • 01 백운경한 석옥청공 2차 만남

1351

  • 05 백운경한, 중국 호주 가무산 천호암에 방문하여 석옥청공 만남

1350

  • Ayutthaya Kingdom (1350-1767)

1348

  • 태고보우 귀국

1347

  • 고려왕조실록 해인사 보관
“다음해 정해년에 충렬(忠烈), 충선(忠宣), 충숙(忠肅)의 실록을 편수해 완성하자 공에게 명하여 역마로 달려가서 해인사고(海印史庫)에 간직해 두도록 하였다.” 
  • 07 태고보우, 호주 하무산 천호암에서 석옥청공과 만남

1343

  • 백장덕휘, 원 순제의 칙명으로 칙수백장청규 집필

1341

  • 불조역대통재(佛祖歷代通載) 편찬

1327

  • 0920 무학자초(無學自超, 1327-1405) B. 안면도

1324

  • Wat Phanan Choeng (วัดพนัญเชิง) E. (some 26 years before the city of Ayutthaya was officially founded), 태국, 아유타야

1321

1320

  • 나옹혜근(1320~1376) B.

1308

  • 蒙山德異(몽산덕이,1231-1308) D. 江西省 高安. *古筠比丘, 殿山和尙, 休休庵主
  • 수덕사 대웅전 중수

1301

  • 태고보우(1301~1382) B.

1300

1298

  • 백운경한 (白雲景閑 Paegun Kyŏnghan, 1298/9-1374) B. 전남 고부

1293

  • 원감국사 충지(1226-1293) D

1289

1284

1281

1269

1249

1246

1245

1240

1239

  • 주자본 남명천화상송 증도가 중조 (증도가자)

1238

  • 태국. Sukhothai Kingdom (1238-1438) E.

1236

  • 재조대장경(1236-1251) 판각시작

1234

1232

  • 대구 부인사, 몽고족에 의해 초조대장경 소실

1231

  • 몽고 침입
  • 蒙山德異(몽산덕이,1231-1308) B. 江西省 高安. *古筠比丘, 殿山和尙, 休休庵主

1227

  • 명종실록을 해인사에 보관하다
“감수국사 평장사 최보순(崔甫淳), 수찬관 김양경(金良鏡), 임경숙(任景肅), 유승단(兪升旦) 등이 『명종실록』을 편찬하여 사관(史館)에 보관하고, 또 1본을 해인사에 보관했다.”

1226

  • 원감국사 충지(1226-1293) B

1215

  • 구자무불성화간병론(拘子無佛性話看病論) 출간, 진각혜심

1210

  • 보조국사 지눌(1158-1210) D. 

1206

1205

1193

  • 악티바르 알 딘 무함마드 박티바르 칼지(Ikhtiyār al-Dīn Muḥammad Bakhtiyār Khaljī)부대, 날란다(Nālandā) 대학 파괴, 위끄라마쉴라사원 파괴

1186

  • 스리랑카 왕, Parākramabāhu I (1153-1186) D.

1175

  • 진각국사 혜심(조계 무의자, 1175-1234) B.

1163

  • 冶父道川(야보도천, 1127-1163) D.

1158

  • 보조국사 지눌(1158-1210) B.

1153

  • 스리랑카 왕, Parākramabāhu I (1153-1186) B.

1150

1144

  • 천봉탑(天封塔) E. 중국 절강성 영파시(寧波市)

1127

  • 冶父道川(야보도천, 1127-1163) B.

1127

  • 冶父道川(야보도천, 1127-1163) B.

1126

  • 중국 사천성, 대족석굴(大足石窟) E.

1124

1122

1121

1117

1115

  • Shin Arahan (1034-1115) D

1112

1103

  • 자각종색, 선원청규 편찬

1102

  • 대각국사 의천의 화폐사용 건의에 따라 해동통보(海東通寶) 주조

1101

  • 대각국사 의천(義天, 1055~1101) D.
  • 대각국사 의천 국사 책봉(입적 이틀 전)

1097

1096

1095

1092

  • 의천, 속장경 착수

1089

고려 선종 6

1083

1081

1080

1077

  • 미얀마 왕 Anawyahta (1044-1077) D.

1074

  • 정토사, 환양(喚羊) 백양사로 개칭

1055

  • 대각국사 의천(義天, 1055~1101) B.

1044

  • 미얀마 왕 Anawyahta (1044-1077) B.

1034

  • Shin Arahan (1034-1115) B
  • 백암사(현 백양사) 중창, 중연(中延), 정토사(淨土寺)로 개칭

1031

  • 거란대장경(1031-1054) 조성

1011

1004

1001

988

983

  • 촉판대장경판(972-983) 완성

980

  • Dipankara Srinana Atisa, born - 1054

972

  • 촉판대장경판(972-983) (북송관판 北宋官版, 개보칙판(開寶勅板, 개보장開寶藏, 촉본蜀本) 제작시작

954

949

  • 雲門文偃 (Yúnmén Wényǎn, 운문문언, 862/4-949) D

943

  • 가야산해인사고적(伽耶山海印寺古籍) 제작
  • 왕건 (王建, 877~943) D.

930

927

  • 희랑, 해인사 희랑대 창건

921

고려 태조4

919

918

904

  • 현준(최치원의 형), 해인사 화엄원에 있던 동생 최치원에게 법장화상전을 찬술하도록 함

898

  • 해인사 중창
  • 현준, 동생 최치원 가족이 해인사에 입산하도록 힘을 써줌
  • 도선(道詵, 827-898) D. 도참설

897

895

  • 사망한 승군들을 위로하기 위해 건립한 석탑 길상탑과 해인사묘길상탑기海印寺妙吉祥塔記 제작

891

885

  • 현준, 해인사 승려 결언대덕과 함께 의상의 스승인 지엄에 대한 추모결사 주관
  • 고운 최치원, 유학후 귀국

880

  • 보조체증 體澄, 804~880 D

879

  • 문경 희양산 봉암사 E. 지선(智詵, 824-882)

877

  • 왕건 (王建, 877~943) B.

869

868

  • 長沙景岑(장사경잠, ?~868, *百尺竿頭進一步) D.

862

경문왕 2
  • 雲門文偃 (Yúnmén Wényǎn, 운문문언, 862/4-949) B
  • 도선(道詵), 도선사(道詵寺) 창건

861

  • 동리산 혜철(784-861) D.
  • 발해의 사신 이거정, 일본에 불정존승다라니경佛頂尊勝陀羅尼經을 전해 줌 (일본 석산사 石山寺 소장)

860

  • 가지산문 보림사 E. 보조체징, 장흥

857

  • 최치원(857-?) B

854

  • 염거(廉巨)화상, 수원 용주사 전신 갈양사(葛陽寺) E.

851

  • 견당사 원흥, 불경 몇 수레를 갖고 옴

834

827

  • 도선(道詵, 玉龍子, 김옥룡(玉龍), 827-898) B.
  • 고구려승 구덕, 불경을 갖고 신라에 옴. 흥덕왕이 흥륜사 앞길에서 맞이함

824

  • 현존  티벳불전목록 중 최고본 덴카르마(Ldan-dkar-ma) 목록 작성
  • 단하천연(丹霞天然, 739-824) D.

821

헌강왕 13
  • 도의국사, 신라로 귀국

820

  • 慧琳(혜림, 737-820) D

814

  • 百丈懷海 (Bǎizhàng Huáihái, 백장회해, 720-814) D

807

원화 2

804

  • 상화상(上和上) 순응(順應) 해인사 창건을 마치지 못하고 사망했다는 명문 제작
  • 보조체증 體澄, 804~880 B 熊津(公州)

802

  • 신림(神琳) 제자 순응(順應), 해인사 창건 착수, 성목태후(聖穆太后)가 불사(佛事)를 도와 전지(田地) 2,500결(結)을 하사

8th

  • Padma Sambhava B.
  • 왕오천축국전
  • Vikramaśilā, E. 

795

  • 까마라쉴라 Kamalaśīla (740-795) D.

794

  • 김교각(金喬覺, 697-794) D.

788

  • 마조도일 (馬祖道一, 709-788) D.

784

  • 도의국사, 당나라 입국, 오대산 방문 

787

  • 혜초(慧超/惠超, 704-787) D. 건원보리사. 중국 오대산

784

  • 샨따락시따 Śāntarakṣita (적호, 725-284) D.
  • 동리산 혜철(784-861) B.

778

774

  • Amoghavajra (不空, 불공금강, 705-774) D.

762

  • 李白(Li Bai, 이백, 701-762) D.
  • 정중무상(淨衆無相, 684-762) B.

760

  • 월명사, 도솔가(兜率歌)를 지어 바침
  • 도의국사 명적(明寂) B. 북한군(서울)

750

  • 동인도 Pala 왕조 성립 - 1174

748

  • 남전보원(南泉普願, 748~834) B.

746

  • 불공, 중국 광주에서 출발하여 싱할라에 도착(1년 소요)했던 불공, 장안으로 돌아옴.

742

  • 불국사 석가탑 E.

741

  • Vajrabodhi (금강지, 671-741) D.

740

  • 까마라쉴라 Kamalaśīla (740-795) B.
  • 지승(智昇, 668-740),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편찬, 서숭복사(西崇福寺)
  • 지승(智昇, 668-740) D

739

  • 단하천연(丹霞天然, 739-824) B.

737

  • 慧琳(혜림, 737-820) B

735

  • 善無畏 (선무외, 637-735) D.

730

  • 장열(張說, Zhang Yue, 663-730) D.

727

  • 혜초, 인도에서 중국 장안으로 돌아옴

725

  • Śāntarakṣita(샨따락시따, 적호, 725-284) B.

722

  • 당 홍주 개원사에 있던 신라 승려 김대비, 장정만에게 2만냥을 뇌물로 주고 6조대사의 머리를 갖고 옴.
  • 지승(智昇), 개원석교록 開元釋敎錄 발간

720

  • 百丈懷海 (Bǎizhàng Huáihái, 백장회해, 720-814) B

719

  • 불공, 자바에서 금강지를 만남
  • 혜초, 광주에서 금강지를 만남

713

  • 慧能 (Huineng, 혜능 638~713) D
  • (Yijing, 의정, 635-713) D

712

  • 賢首法藏 (Fazang,현수법장 643-712) D.

709

  • 馬祖道一 (Mazu Daoyi, 마조도일, 709-788) B.

706

  • 大通神秀 (대통신수, 606?~706) D. 천궁사, 뤄양

705

  • Amoghavajra (불공금강, 705-774) B.
  • 왕자 보천寶川, 효명孝明, 진여원眞如院 (현 상원사) E.
  • 측천무후 (則天武后, 624-705) D.

704

  • 혜초 (慧超/惠超, 704-787) B.

703

  • 의정, ⟪불설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  금강경 역출

702

  • 의상 (義湘, 625-702) D.

701

  • 李白(Li Bai, 이백, 701-762) D.

700

  • 700/704 실차난타, 대승입능가경 7권 역출

697

  • 김교각(金喬覺, 697-794) B.

696

  • 원측(圓測, 613~696) D. 당나라 불수기사

695

  • 의정삼장, 인도 떠남

691

  • 의정,  ⟪남해귀기내법전⟫,  ⟪대당서역구법고승전⟫ 출간   

689

  • 법여(法如, Faru, 638-689) D.

688

  • 04 혜립(慧立), 언종(彦悰), 대당대자은사삼장법사전 (大唐大慈恩寺三藏法師傳) 발간

687

  • Divākara (디와까라 地婆訶羅, 613–687) D.

686

  • 원효 (元曉, 설서당 薛誓幢, 617-668/686) D.
  • 延華道昌(연화도창, 開元寺 개원사) E. 광주, 중국 *힌두 양식이 포함된 중국불교사원

684

  • 정중무상(淨衆無相, 684-762) B.

682

679

  • 낭산, 사천왕사 창건 (유가법사 명랑의 제안)
  • 의상, 계룡산 갑사 중수, 화엄10찰

678

  • 의상대사, 범어사 E.

676

  • 부석사 浮石寺, 의상, E.

674

  • 오조 홍인(五祖弘忍, 601∼674) D.

673

  • 김유신 D.

671

함형(당고종) 2
  • 의정삼장 인도체류 시작
  • Vajrabodhi (금강지, 671-741) B.

670

  • 하택신회 荷澤神會, B. 670~762 襄阳, Xiāngyáng,  湖北성
  • 금강산 신림사(표훈사 表訓寺),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 내금강, 신라승려 표훈, 관륵, 융운

668

  • 지승(智昇, 668-740) B

667

  • 남산도선율사(道宣, 596-667) D.

665

  • 수덕사 삼층석탑 E.

664

  • 현장 Xianzhang D.

663

  • 장열(張說, Zhang Yue, 663-730) B.

661

  • 원효(45), 의상과 함께 당 유학 길에 당항성(경기도 화성) 근처 무덤에서 해골물 마심

660

  • 계백 D. 논산
  • Dharmakīrti (법칭, 600-660?) D.

658

  • 설총 (薛聰, 658-?) B.
  • 자장율사(590-658) D.
  • 정혜사(수덕사) E. 원효

651

  • 651/654 현장, 구사론 阿毘達磨俱舍論 한역

650

영휘초년
  • 원효(34), 의상, 현장에게 불법을 배우러 가다가 요동 근처에서 고구려 국경수비대에 체포
  • 의상, 당에서 지엄법사를 친견
  • 현장, 분별연기초승법문경 分別緣起初勝法門經 번역

649

  • 도선(道宣), 속고승전續高僧傳(唐高僧傳)⟫ 편찬.

647

  • Later Gupta 왕조 멸망, Harśavardhana D.
  • 선덕여왕 (?-647) D
  • 의상, 경북 영천 묘각사 창건
  • 현장, 입명입정리론 역출

645

  • 남산도선 (南山道宣, 596-667), 속고승전 편찬

644

중국 당태종 18
  • 의상, 경주 황복사로 출가 (20)
  • 자장, 김천 봉곡사, 안동 봉황사 창건
  • 현응, 일체경음의 25권 편찬

643

  • 현수법장 (賢首法藏, 643-712) B.
  • 원효, 경주 기림사 중창
  • 자장율사, 귀국, 오대산 월정사 E., 삼장 400여함을 갖고 와서 통도사에 봉안
  • 선덕여왕, 당태종에게 자장율사를 귀국하게 해달라고 요청. 

640

  • 원광(圓光, 542-640) D.
  • 자장, 마곡사 창건

638

  • 혜능 (慧能 638-713) B. 新州 , 광동성
  • 법여(法如, Faru, 638-689) B.

637

  • 善無畏 (선무외, 637-735) B.

636

  • 자장율사, 제자 10여명과 입당하여청량산 문수보살상에 기도하고 가사, 발우, 불두골, 사구게를 받음
  • 신라, 왕의 병환치유를 위해 백고좌법회(황룡사), 인왕경 강의. 승려 100명 출가

635

  • 현장, 대당서역기 출간
  • Yijing (635-713) B

634

무왕 35
  • 신라 분황사 완공, 선덕여왕
  • 왕흥사 창건, 백제 무왕
  • 익산 미륵사  창건

631

  • 백암사(현 백양사) 창건, 여환(如幻)

626

  • 남산도선 (南山道宣, 596-667) 사분율주석 행사초 발간

625

  • 의상 (義湘, 625-702) B.
  • 고구려 혜관(慧灌), 일본에 건너가 삼론종 개조가 됨

624

  • 측천무후 (則天武后, 624-705) B.

623

618

  • 중국 수 隋 (581-618) 멸망
  • 중국 당 唐 (618-907) E.

617

613

609

608

진평왕 11

606

隋 大業 2
  • 대통신수 大通神秀 606?~706 B.
  • 정완(靜琬), 방산석경 조성 시작

602


  • 현장 Xianzhang B.

601


  • 홍인 弘忍: 601~674 B.

600


  • Dharmakīrti (법칭, 600-660?) B.

6th

  • 다메크탑 건조
  • 아프카니스탄 바미얀 주 석불군 조성
  • 신라, 청경림 칠처가람(7처가람) 건설, 1)흥륜사, 2)영흥사, 3)담엄사, 4)영묘사, 5)황룡사, 6)분황사, 7)사천왕사 

599

신라 진평왕 21
  • 흥국사 E. 남양주, 동흥국사(東), 원광.
  • 수덕사 E. 지명. 혜현(570-627)이 법화경 지송, 삼론강의 

597

  • 천태지의(陳德安, 538-597) D.

596

  • 남산도선 (南山道宣, 596-667) B.

593

  • 慧可(혜가, 487-593) D.

592

590

  • 하르샤왕 Harśavardhana (590-647, Puṣyabhutī) B. 
  • 자장(慈藏, 590-658) B.

589

583

581

  • 법랑 (507-581) D

577

  • 고창 선운사 禪雲寺, 검단선사, 의운국사 E.

570

  • Sthiramati (안혜, 510-570) D.
  • Bhāvaviveka (청변, 490-570) D.

569

  • Paramārtha(진제, 499-569) D.
  • 0527 부대사 傳大士(傅翕, 497-569) D.

566

  • 신라 황룡사 완공

562

  • Paramārtha(진제), ⟪금강반야바라밀경⟫ 역출 

561

  • Dharmapāla (호법, 530-561) D.

556

  • 사나야사, 보적경 번역
  • 420/556 계룡산 갑사 창건, 혜명, (또는 중창)

554

  • 혜교(慧皎, 497-554) D.

553

  • 의신, 속리산 법주사 창건
  • 신라 월성 동쪽에 궁궐축성 계획, 황룡이 나타났기에 궁궐 대신 황룡사 E.

551

  • 고구려 승려 혜량 惠亮, 신라에 귀순

550

  • Gupta 왕조 멸망. 후기 굽따(Late Gupta), 마우카리(Maukhari), 푸슈야부티(Pusyabhuti), 마이뜨라까(Maitraka) 생성

549

  • 嘉祥吉藏(Jizang, 가상길장, 549-623) B. 금릉(金陵)
  • 양 고조 무황제 소연(梁 高祖 武皇帝 蕭衍, 464-549) D.

546

  • Paramartha(진제, 499-569),  양무제의 청으로 240부의 범본문헌을 들고 푸난에서 출발하여 광주에 도착, 48세.

541

  • 원광(圓光, 541/542/555-630/638/640/641) B.

540

  • Dignāga D.

538

  • 천태지의(陳德安, 538-597) B.

535

법흥왕 22
  • 신라, 흥륜사, 영흥사 건설
  • 신라, 불교공인

531

  • 蕭統(Xiao Tong, 昭明太子, 소명태자, 501-531) D.

530

  • Dharmapāla (호법, 530-561) B.

529

528

  • 경주 불국사 E. 영제부인
  • 이차돈(異次頓, 506-528). D. 순교

527

  • 0915 이차돈(異次頓, 506-527). D. 순교
  • 아도화상 신라 입국 (일선현: 경북 선산)
  • 527/529 신라 법흥왕, 양무제를 위해 웅진(공주)에 대통사 大通寺를 건설

526

  • 백제 겸익(謙益), 인도에 감

524

  • 상가빨라(460-524) D. 양나라 수도, 정관사(正觀寺). 65세

518

  • 양, 승우(僧祐, 445~518) D.
  • 11 惠生(혜생) 낙양에서 인도로 출발

515

천감天監 14
  • 상가빨라(460-524), 양나라 점운관(占雲館)에서 해탈도론(解脫道論) 역출

514

  • 보지공(寶誌公, 418-514) D.

510

  • Sthiramati(안혜, 510-570) B.

509

  • Bodhiruci(보리유지),  ⟪금강반야바라밀경⟫ 역출

507

  • 법랑 (507-581) B

506

  • 이차돈(異次頓, 506-527) B.

504

  • 담마유지(曇摩流支), 신력입인법문경 信力入印法門經 번역.

503

계미 癸未천감 天監 2
  • 만드라세나(Mandrasena, 曼陀羅仙), 푸난에서 츨발하여 양나라에 입국
  • 503/508 상가빨라(460-524), 양무제의 청으로 양 수도에 들어감

501

  • 蕭統(Xiao Tong, 昭明太子, 소명태자, 501-531) B.

500


  • 전후. 승랑 B.

5th

  • Nālandā, E.

499

  • Paramārtha(진제, 499-569) B.  우자인, 인도

497

  • 0624 부대사 傳大士(497-569) B.
  • 혜교(慧皎, 497-554) B.

490

  • Bhāvaviveka (청변, 490-570) B.

489

  • Saṃghabhadra, 광동廣東에 머물며 율장의 필사본에 975번째 점을 찍음.(중성점기설)

488

487

484

  • 푸난 Kauṇḍinya Jayavarman왕, 승려 나가세나(Nāgasena)를 중국 남제에 사신으로 보냄

480

  • Vasubandhu D.
  • Dignaga B.

470

  • Asaṅga D.
  • Buddhapālita (불호, 470-540) B.

464

  • 양 고조 무황제 소연(梁 高祖 武皇帝 蕭衍, 464-549) B.

460

  • Sanghapala B. Funan.

456

불기1000단기 2789CDLVI

445

  • 양, 승우(僧祐, 445~518) B

430

  • Maitreya D.

428

  • 스리랑카 왕 Mahānāma(406-428) D.

427

  • 陶渊明 (Tao Yuanming, 도연명, 365-427 ) D.
  • 날란다(Nālandā) 대학 건설, 굽타제국의 꾸마라굽타1세.

422

  • Faxian (337-422) D

420

  • 420/556 계룡산 갑사 창건, 아도화상

418

  • 보지공(寶誌公, 418-514) B.

416

  • 여산혜원(慧遠, 334-416) D.

413

  • Kumārajīva(구마라집, 344-413) D. 장안
  • 법현, 청주(淸州) 도착

409

406

  • 스리랑카 왕 Mahānāma(406-428) B.

405

  • 고구려/신라, 북위 승려 담시(曇始) 불교전래(?)

404

  • 여산혜원,  ⟪沙門不敬王者論 사문불경왕자론저술

403

  • 후량, 후진에 항복

402

  • 402/412 꾸마라지와,  ⟪십주비바사론 十住毘婆沙論 역출
  • 꾸마라지와, 금강경 역출,  ⟪금강반야바라밀경 

401

  • 꾸마라지와, 후진 요흥의 국사가 됨.

400

  • Vasubandhu (세친, 320-400) D.

399

  • Faxian (법현,  인도순례, 399-412) 시작
  • 후량의 呂光(여광, 338-399) D.

391

  • 391/393 고구려, 평양에 9개 사찰 건설

390

  • Asaṅga(무착, 310-390) D.

386

呂光(여광, 338-399), 후량後涼 E.

385

  • 前秦(전진) 苻堅(부견, 337-385)  D.
  • 釋道安(석도안, 312-385) D. 

384

침류왕 원년
  • 백제불교 전래, 마라난타
  • 姚萇(요장, 331-393), 後秦 후진 E.

380

  • 380/395 Asaṅga D.

374

  • 위魏에서 아도(阿道), 고구려 도착

372

  • 전진왕 부견, 순도를 통해 고구려 불교 전래

365

  • 陶渊明 (Tao Yuanming, 도연명, 365-427 ) B.

350

  • Maitreya B. 보살지지경

348

  •  佛圖澄(불도징, 233-348) D.

344

  • Kumārajīva(344/350-413) B.

334

  • 여산혜원(慧遠, 334-416) B.

337

  • 전진 부견 苻堅  B.
  • Faxian (법현, 335/337-420/422) B

320

  • Gupta 왕조 건설
  • Vasubandhu (세친, 320-400) B.

316

  • 316/400 Vasubandhu, B. 간다라(?)

314

  • 축법호, 불설대쟁법문경 佛說大淨法門經 번역

313

  •  콘스탄티누스 대제, 기독교 공인

312

  • 釋道安(석도안, 312-385) B. 

310

  • Dharmarakṣa (竺法護, Zhú Fǎhù, 233-310) D

300

  • 300/310 Asaṅga(무착, 300-390) B. 간다라(?)

285

280

  • 강승회 康僧會(?-280) D.

270

  • Āryadeva (제바, 170-270) D.

266

262

  • 스리랑카 Goṭhābhaya (249-262) D.

252

  • 0416 孫權(손권, 182-252) D.

250

  • Nāgārjuna (150?-250?) D.

249


  • 스리랑카 Goṭhābhaya (249-262) B.

234

불기 778단기 2567
  • 1008 제갈량(181-234) D.

233

  •  불도징(佛圖澄, 233-348) B.
  • Dharmarakṣa (竺法護, Zhú Fǎhù, 233-310) B

231

  • 스리랑카 Vohārika Tissa (209-231) D.

229

  • 신라 지진
  • 중국 촉한 무관 조운 D.

226

  • 인도파르티아 Indo-Parthian Kingdom(19-226) 멸망

223

  • 0610 촉한 소열황제 昭烈皇帝 유비(161-223) D.

221

  • 장비(165?-221) D.

220

  • 조조(155-220) D.

219

  • 12 관우(160/165-219) D.

209

  • 스리랑카 Vohārika Tissa (209-231) B.

199

  • 김수로왕(42-199) D.
  • 여포(?-199) D.

182

  • 12.22 孫權(손권, 182-252) B.

180

  • 안세고(安世高,  fl. 148?-180?) D. (?)

179

170

  • Āryadeva (제바, 170-270) B.

155

  • 조조(155-220) B.

165

  • 장비(165?-221) B.

161

  • 촉한 소열황제 昭烈皇帝 유비(161-223) B.

160

  • 160-165 관우(160/165-219) B.

150

  • Nāgārjuna (150?-250?) B. Andhra Phradesh

148

  • 安世高(An Shigao, 안세고), ⟪무량수경⟫ 역출  

127

  • 카니슈카 즉위(?) Harry Falk 제안, 이주형, 잠정적 수용 - 여유롭게 120~130년 경

1st century

  • 산치대탑 E.

70

  • 섭마등, 축법란, 한나라 입국

48

무신 戊申후한건무 24
  • 섭마등, 축법란, 한나라 입국
  • 허황옥(許黃玉), 서역 아유타국에서 파사석탑을 싣고 옴

42

임인 壬寅불기 586
  • 섭마등, 축법란, 한나라 입국
  • 김수로왕(42-199) B. 구지봉
  • 인도불교 한국 수입추정

30

  • 쿠샨제국 건설

19

  • 인도파르티아 Indo-Parthian Kingdom(19-226) E

-73

  • 슝가왕조 멸망

-77

  • 스리랑카 Vaṭṭhagāmaṇi Abhaya (BCE.89-BCE.77) D.

-86

  • 사마천(145-86? BCE) D.

-89

  • 스리랑카 Vaṭṭhagāmaṇi Abhaya (BCE.89-BCE.77) B.

-137

  • 스리랑카 Duṭṭhagāmaṇī (둣타가마니, BCE.161-BCE.137) D.

-145

  • 사마천(145-86? BCE) B.

-161

  • 스리랑카 Duṭṭhagāmaṇī (둣타가마니, BCE.161-BCE.137) B.

-185

  • Maurya Dynasty 멸망

-187

  • 마우리야 군사령관 뿌샤미뜨라, 슝가왕조 건설

-232

  • Aśoka(268-232 BCE) D.

-246

  • 제3차 결집, 빠딸리뿟따, (9개월 간)

-247

  • Moggaliputtatissa (327–247 BCE) D.

-253

  • BCE.386/BCE.253 바이샬리 결집

-267

  • 스리랑카 Devānaṃpīya Tissa (BCE.307-267) D.
  • BCE.268/267 Aśoka 대관식 

-268

  • Aśoka(268-232 BCE) B.

-273

  • 마우리야 빈두사라(Bindusara, BCE.293-BCE.273) D.

-286

  • 장자(369?-286 BCE) D.

-289

  • 맹자(372-289 BCE) D.

-293

  • 마우리야 빈두사라(Bindusara, BCE.293-BCE.273) B.

-1st century

  • 바르후뜨 건설

-300

  • 마우리야 Candragupta(BCE.324-300) B.

-304

  • Aśoka B.

-307

스리랑카 Devānaṃpīya Tissa (BCE.307-267) B.

-320

  • Maurya Dynasty 건설

-323

  • 알렉산더 3세 D.

-324

  • 마우리야 Candragupta(BCE.324-300) B.
  • 마가다 시대 종료

-326

  • 알렉산더 3세 인도침공

-327

  • Moggaliputtatissa (327–247 BCE) B.

-336

  • 알렉산더 3세 재위시작

-356

  • 알렉산더 3세 B.

-368

  • Gotama Buddha(BCE.565/563/480-BCE.480/485/483/400) D.
  • BCE.486/BCE.368 라자그리하 결집

-369

  • 장자(369?-286 BCE)

-372

  • 맹자(372-289 BCE) B. 산둥성 추현

-386

  • Gotama Buddha(BCE.565/563/480-BCE.480/485/483/400) D.
  • BCE.386/BCE.253 바이샬리 결집

-462

  • King Ajatasatru (BCE.494?-462?) D.

-479

  • 孔子 공자(551-479) D.

-480

  • Gotama Buddha(BCE.565/563/480-BCE.480/485/483/400) D.

-484

  • Śāriputra(BCE.568-BCE.484) D. Nalanda.

-486

  • Maudgalyāyana(?-BCE.486) D. Magadha.
  • Gotama Buddha(BCE.565/563/480-BCE.480/485/483/400) D.
  • BCE.486/BCE.368 라자그리하 결집
  • 붓다설법, 종료

-491

  • King Bimbisara(BCE.558- BCE.491) D.

-494

  • Ajātasattu(BCE.494?-462?) B.
  • 빔비사라, BCE546-BCE494 라자그리하 기리브라자(Rājagṛha-Girivraja)에서 마가다 통치종료(?)

-5th /6th

  • Ananda

-523

  • 붓다 스리랑카 3차 방문(스리랑카 자료, 전설)

-526

  • 붓다 스리랑카 2차 방문(스리랑카 자료, 전설)

-531

  • 붓다, 성도.
  • 붓다, 성도직후 King 빔비사라 Bimbisara 만남 (Supratiṣṭhacaitya)
  • 붓다 설법(BCE.531-486)시작
  • 붓다 스리랑카 1차 방문(스리랑카 자료, 전설)

-532

  • 붓다, 6년 고행 종료

-537

  • 붓다, 출가.
  • 붓다, 출가직후 King 빔비사라 Bimbisara 만남 (Pāṇḍavaparvata)

-543

  • Gotama Buddha(BCE.565/563/480-BCE.543/480/485/483/400) D.

-546

  • King Bimbisara, 라자그리하  기리브라자(Rājagṛha-Grirvraja)에서 마가다 통치, 마가다 시대 시작

-550

  • 붓다, 야쇼다라와 결혼(16)

-551

  • 공자(BCE.551-BCE.479) B.

-558

  • 빔비사라 King Bimbisara(BCE.558- BCE.491) B.

-568

  • Śāriputra(BCE.568-BCE.484) B. Nalanda.

-563

  • Gotama Buddha(BCE.565/563/480-BCE.543/480/485/483/400) B.

-6th

  • 아리야, 뻔잡에서 벵갈, 데칸의 일부를 넘어서 세력확장

-8/7th

  • 아리야족, 북쪽 비하르지역 정복, Videha 왕국 건설

-9th

  • 바라따족의 두 가계, Duryodhana 100 Kaurava 왕자 VS 사촌간인 5왕자 Pāṇḍava

-949

  • Gotama Buddha(BCE.565/563/480-BCE.543/480/485/483/400) B. *주나라 목왕, 임신년

-1000

  • 아리야인들, 동쪽으로 진출, 갠지스 강 유역 서쪽 부분 점령

-13th

  • 인도이란어족의 동쪽 지류, 아리야어족, 인도서북부 지역 침략

-15th

  • 베다 작성시작(15세기-6세기 B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