Śītavana 屍陀林
sitavana, 쉬따와나 시타림 屍陀林, 尸陁林, 尸陀林, 시다림, 시달림
라자그리하(왕사성)근처에 있는 숲의 이름. 
Rājagṛha(라자그리하, 왕사성)근처에 있는 숲의 이름. 아나따삔디까(급고독장자)가 이곳에서 처음으로 부처님을 만난 곳이라고 한다. 이곳에는 공동묘지가 있어서 늦은 밤 혹은 새벽 급고독이 부처님을 뵈러갈 때 공포스러움을 느끼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때문에 이 숲은 두려운, 공포스러운 이란 의미의 Bhayabherava [바와베라와]라고도 불린다. 이후 이곳은 시신을 버리는 장소의 대명사로 인식되었다. śīta라는 지명 역시 시신의 ‘屍’로 쓰여서 시타림 屍陀林, 尸陁林, 尸陀林 등으로 번역되었다. 독수리봉(영취산)과 멀지 않은 위치여서 남쪽의 이 숲에서 시체를 먹은 독수리들이 북쪽의 영취산으로 돌아간다는 언급도 있어서 영취산은 생김새 뿐만 아니라 시신을 먹고 치운 독수리들이 다시 돌아가는 곳’(Gṛdhrakūtaparvata)’이라고도 알려졌다.
  • 오늘날 한국에서 ‘시다림, 시달림’으로 번역되는 이 개념은 스님들이 장례식에 문상가서 독경하는 것을 의미하는 말로 통용되고 있다.  
  • ⟪개원석교록⟫에는  ⟪요행사신경 要行捨身經⟫이란 경이 위경임을 지적하며, 여기 나오는 내용으로 보이는 부분을 비판하는 부분이 나온다.
  • 이름이 유사한 서다림 逝多林은 사위성에 있는 제타림(기원정사)의 다른 표현으로 혼동하기 쉬우나 전혀 다른 장소이다. 
靈鷲山屍陁林側者, 按諸傳記, 其鷲峯山, 在摩伽陁國, 山城之內, 宮城東北十四五里, 豈有都城之內, 而安棄屍之處事, 旣不然.
“영취산의 시림(屍陀林) 곁”이라 였는데, 모든 전기(傳記)를 살펴보아도 그 취봉이라는 산은 마가타국(摩伽陀國)의 산성(山城)에 있고 궁성(宮城)으로부터는 동북쪽으로 14~15리(里)쯤 떨어져 있거늘, [시타림이란 이] 어찌 도성(都城) 안에 있다는 것이며 시신(屍身)을 버리는 장소일 수 있겠는가? 이는 그럴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