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ṣetrajña
kṣetrajña
知田
“indriyāṇi manaś caiva vijñānāny asya bhārata. saptamī buddhir ity āhuḥ, kṣetrajñaḥ punar aṣṭamaḥ”
"감관과 manas는 실로 이것(=개인아)의 인식기능이다, 바라타의 자손이여! 통각(buddhi)은 일곱째라고 설시된다. 또한 知田(kṣetrajña)은 여덟 째다."
(MBh-b 12.194.12; MBh-c 12.187.11).Kang, Hyong Chol, 2011, Indriya and Manas in Narratives and Similes, 148
(MBh-b 12.194.12; MBh-c 12.187.11).Kang, Hyong Chol, 2011, Indriya and Manas in Narratives and Similes, 148
이 부분은 해탈법품(Mokṣadharmaparvan) 뿐만 아니라 상키야를 언급하는 문헌 전체에서 buddhi를 언급하는 거의 최초기의 맥락이다. 여기서 知田 (kṣetrajña)은 고전기 이전의 상키야 전통에서 puruṣa를 가리킨다.
Kang, Hyong Chol, 2011, Indriya and Manas in Narratives and Similes, 148
Kang, Hyong Chol, 2011, Indriya and Manas in Narratives and Similes,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