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hidharma
abhidharma
P. abhidhamma아비다르마 아비달마 아비담마 아비담 비담
abhi-
abhi-
테라와다 전통의 빠알리 문헌들은 궁극·세속적인 측면에서 아비담마를 조망하지 않았다. 이들은 ‘마하위하라’라는 특정 사원 세력이 견지했던 7론(현존하는 빠알리 七論)만을 아비담마로 규정했다.
그렇다면 어떤 의미에서 abhi-dhamma라 하는가? [Sutta들에 담겨있는] 담마들을 능가하고 [Sutta들에 담겨있는] 담마들보다 특별하다는 의미에서 [abhi-dhamma라 한다.] 여기에서 ‘abhi’라는 단어는 ‘-보다 능가하다(atireka)’, ‘-와 구별된다(visesa)’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Atthasālinī p.2)
“벗이여! 나에게 극심한 고통스러운 느낌들이 증가하며(abhi-kamati) 사라지지 않습니다.”, “뛰어난 모습을 지닌(abhi-kantavaṇṇa)”등의 [용례]들에서처럼. (Atthasālinī p.2)
더 나아가 Mahāvibhāṣāśāstra 가 ‘abhi’를 ‘adhi’와 동일시했다면, Atthasālinī는 접두사 ‘abhi’와 ‘ati’를 다음과 같이 동일시한다.
그렇기에 많은 차양과 깃발이 세워질 때, [다른 차양들에 비해] 양적으로 더 많고 특별하게 아름다운 모양의 차양은 ‘탁월한 차양(ati-chatta)’이라고 불린다. 그리고 [다른 깃발들에 비해] 양적으로 더 많고 다양하고 우월한 깃발은 ‘탁월한 깃발(ati-dhaja)’이라고 불린다. 그리고 다수의 왕자들과 神들이 함께 모였을 때, [왕자들 중에서] 혈통과 재산, 명성, 통치력 등을 지님에 있어서 보다 탁월하고 뛰어난 왕자는 ‘탁월한 왕자(ati-rājakumāra)’라 불리고, [마찬가지로 神들 중에서] 생명력과 생김새, 통치력, 명성, 훌륭함에 있어서 더욱 탁월하고 뛰어난 神 은 ‘탁월한 神(ati-deva)’이라 불리는 것처럼, 마찬가지로 훌륭한 브라흐마는 ‘탁월한 브라흐마(ati-brahmā)’라고 불린다. (Atthasālinī p.2)
한편 Atthasālinī는 ‘abhi’와 관련하여 위와 같은 간단한 규정을 먼저 제시한 후 (Asl pp.2-3), 다시 접두사 ‘abhi’에 대해 다음과 같이 부연한다(Atthasālinī pp.19-20).
아비담마의 용어의미는 [앞서 이미] 설명되었지만, [그것과는] 다른 방식이 [여기서 추가로 설해질 것이다.] ......<중략>...... 여기서 ‘abhi’라는 [접두]어는 1 ‘증가하는(vuḍḍhi)’, 2 ‘특징을 지닌(salakkhaṇa)’, 3 ‘존경받는(pūjita)’, 4 ‘구분되는(paricchinna)’, 5 ‘능가하는(adhika)’으로 규정된다. (Atthasālinī pp.19-20.)
김경래 Kim, Kyungrae (2013) "The definition of the compound 'abhi-dhamma' and Mahāvihāra's Legitimation" pp. 233-235
그렇다면 어떤 의미에서 abhi-dhamma라 하는가? [Sutta들에 담겨있는] 담마들을 능가하고 [Sutta들에 담겨있는] 담마들보다 특별하다는 의미에서 [abhi-dhamma라 한다.] 여기에서 ‘abhi’라는 단어는 ‘-보다 능가하다(atireka)’, ‘-와 구별된다(visesa)’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Atthasālinī p.2)
“벗이여! 나에게 극심한 고통스러운 느낌들이 증가하며(abhi-kamati) 사라지지 않습니다.”, “뛰어난 모습을 지닌(abhi-kantavaṇṇa)”등의 [용례]들에서처럼. (Atthasālinī p.2)
더 나아가 Mahāvibhāṣāśāstra 가 ‘abhi’를 ‘adhi’와 동일시했다면, Atthasālinī는 접두사 ‘abhi’와 ‘ati’를 다음과 같이 동일시한다.
그렇기에 많은 차양과 깃발이 세워질 때, [다른 차양들에 비해] 양적으로 더 많고 특별하게 아름다운 모양의 차양은 ‘탁월한 차양(ati-chatta)’이라고 불린다. 그리고 [다른 깃발들에 비해] 양적으로 더 많고 다양하고 우월한 깃발은 ‘탁월한 깃발(ati-dhaja)’이라고 불린다. 그리고 다수의 왕자들과 神들이 함께 모였을 때, [왕자들 중에서] 혈통과 재산, 명성, 통치력 등을 지님에 있어서 보다 탁월하고 뛰어난 왕자는 ‘탁월한 왕자(ati-rājakumāra)’라 불리고, [마찬가지로 神들 중에서] 생명력과 생김새, 통치력, 명성, 훌륭함에 있어서 더욱 탁월하고 뛰어난 神 은 ‘탁월한 神(ati-deva)’이라 불리는 것처럼, 마찬가지로 훌륭한 브라흐마는 ‘탁월한 브라흐마(ati-brahmā)’라고 불린다. (Atthasālinī p.2)
한편 Atthasālinī는 ‘abhi’와 관련하여 위와 같은 간단한 규정을 먼저 제시한 후 (Asl pp.2-3), 다시 접두사 ‘abhi’에 대해 다음과 같이 부연한다(Atthasālinī pp.19-20).
아비담마의 용어의미는 [앞서 이미] 설명되었지만, [그것과는] 다른 방식이 [여기서 추가로 설해질 것이다.] ......<중략>...... 여기서 ‘abhi’라는 [접두]어는 1 ‘증가하는(vuḍḍhi)’, 2 ‘특징을 지닌(salakkhaṇa)’, 3 ‘존경받는(pūjita)’, 4 ‘구분되는(paricchinna)’, 5 ‘능가하는(adhika)’으로 규정된다. (Atthasālinī pp.19-20.)
김경래 Kim, Kyungrae (2013) "The definition of the compound 'abhi-dhamma' and Mahāvihāra's Legitimation" pp. 233-235
abhi-
abhi-
증가하는 (vuḍḍhi)
특징을 지닌(salakkhaṇa)
존경받는(pūjita)
구분되는(paricchinna)
능가하는(adhika)
김경래 Kim, Kyungrae (2013) "The definition of the compound 'abhi-dhamma' and Mahāvihāra's Legitimation" pp. 235-237
- 형태용례(abhi-kamati): “벗이여! 나에게 극심한 고통스러운 느낌들이 증가합니다(tathā h’esa ‘bāḷhā me āvuso dukkhā vedanā abhikkamantī’ ti ādīsu vuḍḍhiyaṃ āgato. MN II p.192.).”
- 의미용례(vuḍḍhimantā dhammā: 증가하고 있는 담마들): “물질(rūpa, 色)의 일어남으로 인해 道를 닦는다(修); 사랑(慈)을 지닌 마음 (citta, 心)으로 인해 한 방향을 채우고서 머문다(rūpūpapattiyā maggaṃ bhāveti. Dhs p.31; mettā-sahagatena cetasā ekaṃ disaṃ pharitvā viharatī. Vibh p.272.).”
특징을 지닌(salakkhaṇa)
- 형태용례(abhi-ñāta/abhi-lakkhita): “그러한 밤들은 특히 잘 알려져 있고 길조로 여겨진다(yā tā rattiyo abhiññātā abhilakkhitā. MN I p.20.).”
- 의미용례(ārammaṇādīhi lakkhaṇīyattā; 인식대상들로 인해 특징 지어져야만 하므로): “물질의 인식대상 혹은 소리의 인식대상 (rūpārammaṇaṃ vā saddārammaṇaṃ vā. Dhs p.9)”
존경받는(pūjita)
- 형태용례(rājā-abhirāja): “왕 중의 왕, 인간의 왕(rājābhirājā manujindo).”
- 의미용례(pūjitā pūjārahā; 존경받을만한): “유학법들, 무학법들, 출세간법들(sekkhā dhammā asekkhā dhammā lokuttarā dhammā. Dhs p.2)”
구분되는(paricchinna)
- 형태용례(abhi-dhamma / abhi-vinaya): “담마에 대해, 위나야에 대해 가르칠 수 있다(paṭibalo vinetuṃ abhidhamme abhivinaye).”
- 의미용례(sabhāvaparicchinnattā; 자신의 고유한 특성이 구분되 기 때문에): “접촉(phassa, 觸)이 있고 느낌(vedanā, 受)이 있다(phasso hoti vedanā hoti. Dhs p.9).”
능가하는(adhika)
- 형태용례(abhi-kkantena): “뛰어난 용모로 인해(abhikkantena vaṇṇenā)”
- 의미용례(adhikā dhammā; 능가하는 법들): “수승한 법들, 무량한 법들, 위없는 법들(mahaggatā dhammā, appamāṇā dhammā, anuttarā dhammā. Dhs p.2)”
김경래 Kim, Kyungrae (2013) "The definition of the compound 'abhi-dhamma' and Mahāvihāra's Legitimation" pp. 235-237
dharma-paryāya
‘법수(法數, dharma-paryāya)‘란 관념은 초기불교 의 3법인, 4제, 8정도 등을 통해서도 일찍이 알려지고 있으나 법수가 교리체계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중시되기 시작한 것은 부파 불교의 논사들로부터라고 할 수 있다. 주로 설일체유부(Sarvāsti vādin)를 통해 알려진 것으로 이들은 유위(saṁskṛta)를 최대한으 로 해체하고 이 분석된 존재론적 요소(aṇu)들을 다르마(dharma, 法)라고 명명했다. ‘abhi-dharma(법에 대하여)’에서 ‘dharma’란 그렇게 나누어진 최소한의 요소인 다르마들에 대한 연구를 의미한다.
강대공 Kang, Daegong, 2013,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number 108 through afflictions(kleśa) and auspiciousness(maṅgala), 172.
‘법수(法數, dharma-paryāya)‘란 관념은 초기불교 의 3법인, 4제, 8정도 등을 통해서도 일찍이 알려지고 있으나 법수가 교리체계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중시되기 시작한 것은 부파 불교의 논사들로부터라고 할 수 있다. 주로 설일체유부(Sarvāsti vādin)를 통해 알려진 것으로 이들은 유위(saṁskṛta)를 최대한으 로 해체하고 이 분석된 존재론적 요소(aṇu)들을 다르마(dharma, 法)라고 명명했다. ‘abhi-dharma(법에 대하여)’에서 ‘dharma’란 그렇게 나누어진 최소한의 요소인 다르마들에 대한 연구를 의미한다.
강대공 Kang, Daegong, 2013,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number 108 through afflictions(kleśa) and auspiciousness(maṅgala), 172.
Abhidharmakośavhāśya는 아비달마를 ‘궁극적인 것’과 ‘세속적인 것’으로 분류한다.
여기서 아비달마란 무엇인가? [2a頌] 순수한 반야(prajñā-amala), [그리고 그 순수한 반야와] 함께하는 것들 (anucara)이 아비달마이다. [순수한 반야]에서 ‘반야(prajñā)’란, 法 [즉, 四聖諦]를 판단(pravicaya)하는 것이다. ‘순수한(amala)’이란 無漏이다. ‘함께하는 것들(anucara)’이란 자기 밑에 종속된 것(parivāra)이다. 이처럼 無漏인 五蘊이 아비달마라고 설해졌다. 이러한 점에서 이것이 궁극적인 아비달마이다.(AKBh-p p.2; AKBh-h 1b1-5; AKBh-pm 162a1-5.)
‘순수한 반야(prajñā-amalā: 淨慧, 淨智)’에서 淨으로 한역된 ‘amala’는 번뇌의 결여(無漏)를, ‘prajñā’는 진리(四聖諦)를 구분하는 판단력(pravicaya, 擇)을 의미한다. 따라서 궁극적인 측면에서 아비달마는 四聖諦가 무엇인지 판단할 수 있는 최상승의 가르침을 의미한다.
김경래 Kim, Kyungrae, 2013, The definition of the compound ’abhi-dhamma’ and Mahāvihāra’s Legitimation, 227-228
여기서 아비달마란 무엇인가? [2a頌] 순수한 반야(prajñā-amala), [그리고 그 순수한 반야와] 함께하는 것들 (anucara)이 아비달마이다. [순수한 반야]에서 ‘반야(prajñā)’란, 法 [즉, 四聖諦]를 판단(pravicaya)하는 것이다. ‘순수한(amala)’이란 無漏이다. ‘함께하는 것들(anucara)’이란 자기 밑에 종속된 것(parivāra)이다. 이처럼 無漏인 五蘊이 아비달마라고 설해졌다. 이러한 점에서 이것이 궁극적인 아비달마이다.(AKBh-p p.2; AKBh-h 1b1-5; AKBh-pm 162a1-5.)
‘순수한 반야(prajñā-amalā: 淨慧, 淨智)’에서 淨으로 한역된 ‘amala’는 번뇌의 결여(無漏)를, ‘prajñā’는 진리(四聖諦)를 구분하는 판단력(pravicaya, 擇)을 의미한다. 따라서 궁극적인 측면에서 아비달마는 四聖諦가 무엇인지 판단할 수 있는 최상승의 가르침을 의미한다.
김경래 Kim, Kyungrae, 2013, The definition of the compound ’abhi-dhamma’ and Mahāvihāra’s Legitimation, 227-228
Abhidharma means “study on the dharma”. It is a class of literature which deals with philosphical and theological topics. In other words, it is a highly developed form of annotated texts. It is likely that abhidharma originated from mātṛkā.
Hajime Nakamura, (1980) Indian Buddhism: A Survey with Bibliographical Notes. p.104
Hajime Nakamura, (1980) Indian Buddhism: A Survey with Bibliographical Notes. p.104
‘진리에 대한 (상세한) 해석’을 의미하며 이런 설명들을 논문으로 묶은 ‘논서’를 의미하기도 한다. 전자의 경우 아비담이라고 번역하고 후자의 의미로 쓰일 경우 논(論)이라고 번역되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다. 또한 산스끄릿으로는 아비다르마, 빨리어로는 아비담마라고 불리는데 발음만 다른 것은 아니다. 아비다르마는 붓다의 가르침에 관한 상세한 해석이라는 의미로 쓰이지만, 아비담마는 주로 절대적인 문헌자체로 취급되기 때문이다. 불교어휘가 가진 다양한 의미들과 불교전공자들이 생각했던 현상계의 이론들, 철학적인 난제 등 많은 이야기들은 아비다르마/아미담마를 통해서야 알 수 있으며 아비다르마는 이후 대승불교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DBTS